|
광주광역시가 지난해 10~11월 남구 군분로 일대를 '차 없는 거리'로 운영한 결과 방문객 유입과 매출 증가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광주시와 5개 자치구는 차 없는 거리 운영을 통해 '(대중교통·자전거·보행 중심)대·자·보 도시 광주'로 나아가기 위한 지역사회 공감대 확산에 나서기로 했다.
27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10월5일부터 11월2일까지 매주 토요일 군분로 무등시장 일대에서 차 없는 거리와 야시장을 운영한 결과 총 6만4190여명(체류시간 20분 이상 기준)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방문객 3만8845명보다 65% 증가한 것이다.
시는 차 없는 거리에서 열린 각종 공연과 체험행사, 워크온 걷기 챌린지 등 다채로운 이벤트 등이 방문객 유입을 이끈 것으로 분석했다.
차 없는 거리를 거듭할수록 방문객 수가 지속 증가했다. 하루평균 7700여명이 찾던 군분로 야시장은 차 없는 거리가 운영되면서 1만명이 넘게 방문했다.
인접 전남지역 시·군 주민 등 외지인의 방문도 늘었다. 광주와 인접한 나주시(509명), 화순군(500명)에서 가장 많이 찾았으며 여수(222명)와 목포(151명) 순이었다.
연령별로는 50대(22.4%), 60대(21.9%), 40대(16.9%), 30대(13.2%), 20대(10.5%) 순으로, 전 연령대가 골고루 야시장을 찾은 것으로 집계됐다.
자동차 통행을 제한하고 보행자 중심의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는 차 없는 거리가 지역상권 활성화로 이어졌다.
차 없는 거리를 운영했던 지난해 10~11월 군분로 일대 소비매출이 총 10억11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억9400만원)보다 2억1700만원(27.4%)이 증가했다. 이 가운데 요식업이 총 5억3100만원으로 전체 소비매출의 52.5%를 차지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억2400만원 증가했다.
박혜미 시 데이터정보화담당관은 "차 없는 거리 운영에 대한 효과를 지속 분석해 광주시 보행 중심의 공간 확대와 지역상권 활성화와 도시이용인구 증대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