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가 개발한 국산 백신의 글로벌 진출에 속도가 붙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전 세계적 감염병 대유행) 이후 해외 중·저개발국 중심의 백신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적극적인 시장 개척 노력이 동반되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동남아 및 중남미 등 남반구 지역 국가들에 자체 개발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 출하를 개시, 총 75만도즈(1도즈=1회 접종량)를 상반기에 공급한다고 12일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남반구에서 사용될 독감백신을 수출하는 것은 지난해 태국 첫 수출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남반구향 수출을 확대한다는 의미로 독감백신 생산 시설의 연중 가동으로 생산량을 늘리는 동시에 설비 연속 가동에 따른 제조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스카이셀플루는 임상을 통해 우수한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입증하며 세포배양 방식으로는 세계 최초로 WHO(세계보건기구) PQ(사전적격평가) 인증을 획득한 독감백신이다. 세포배양 방식은 유정란을 이용해 생산한 백신 대비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 변이의 가능성이 작아 실제 유행하는 바이러스 유형과 일치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카이셀플루는 지난해 아프리카, 중동, 동남아, 중남미 지역의 다수의 국가들과 계약을 맺으며 수출을 본격화했다. 글로벌 리서치 기업인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독감백신 시장 규모는 2023년 70억달러(약 10조원)이며 오는 2030년까지 연평균 8.5% 증가할 전망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수두백신 '스카이바리셀라'의 중남미 및 동남아 지역에 대한 공급을 확대하고 있고 대상포진백신 '스카이조스터'의 아시아 지역 진출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WHO PQ 인증을 확보한 장티푸스백신 '스카이타이포이드' 또한 1회 접종으로 충분한 면역원성과 장기적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단백접합백신이라는 장점을 토대로 아프리카 및 남아시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우리 기술력으로 개발된 백신들이 WHO PQ 인증 등을 통해 이미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한 만큼 공격적으로 해외 판로를 개척하고 시장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