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2040년까지 총 112조원을 투입하여 서부와 동부 지역의 사회기반시설(SOC)을 대규모로 개발하는 '2040 경기 서·동부 SOC 대개발 구상'을 최종 확정했다고 17일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지역 균형 발전과 도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며, 1년 동안 민관 협력을 통해 계획되었다.
경부축 중심의 개발로 인해 상대적으로 소외된 서부(화성·안산·평택·시흥·파주·김포·안성)와 동부(용인·남양주·광주·이천·양평·여주·가평) 지역 14개 시군을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개발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SOC 대개발 계획은 2040년까지 도로와 철도 교통 기반시설(인프라)과 경기둘레길 등 감성여가 분야, 도시개발 등 민관개발 분야, 행정지원·제도개선 등 개발지원 분야 등에서 220여건의 세부사업을 선정, 110조원대 투자를 한다. 도는 155조 30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도로분야는 총 76개 노선에 총사업비 34조 1000억원을 투입한다. 화성~안성 등 고속도로 11개 노선, 제2경춘 등 국도 26개 노선, 기흥~처인 등 지방도 34개 노선, 우정~향남 등 시도 5개 노선을 반영한다. 이를 통해 지역간 연결을 강화하고 교통혼잡구간을 개선할 계획이다.
총 사업비 54조 3000억원을 투입하는 철도분야는 총 46개 노선을 건설한다. KTX 파주 연장 등 KTX·GTX 11개 노선, 평택~부발 등 일반·광역·도시철도 35개 노선을 반영했다.
|
총면적 193㎢ 규모의 개발구상에는 23조 6000억원을 투입한다. 철도망 등 광역기반시설과 연계한 광주역세권 2단계 등 역세권개발 14곳, 탄소저감형 친환경 도시조성을 위한 파주 미군반환공여구역 등 도시개발 7곳, 기술집약 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바이오 트리플렉스 시흥 특화단지 등 산업단지개발 17곳, 체류형 관광휴양권 확보를 위한 여주 신륵사 등 관광개발 23곳을 반영했다.
도는 SOC 대개발 구상의 실현과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8월부터 경기민간개발 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 센터는 도시개발, 산업단지, 관광단지 등 민간이 주도하는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리스크 예측·관리, 인·허가 소요기간 단축 등 원스톱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 구상에는 지역 주민들과 관련 민간단체 등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됐다는 평가다. 지난 1월에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해 제정한 '경기도 권역별 대개발 구상 지원 조례'에 따라 4년마다 타당성을 재검토하게 된다. 손임성 도 도시주택실장은 "이번 SOC 대개발은 단순한 구상이 아니라 민간과 공공이 함께 만드는 실질적인 균형발전의 초석이자 국내 최초의 중·장기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