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교육청이 2025년도 본청·교육지원청의 '평가 체제'를 현장중심으로 개선한다고 18일 밝혔다.
18일 도교육청은 남부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2025년도 본청 정책평가, 교육지원청 및 직속기관 평가 개선 방향을 발표했다.
교육청 상위 정책목표 관리를 통해 정책평가를 체계화하고 정책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객관적 자료를 활용한 '증거기반' 평가를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도교육청은 2024년 증거기반 정책평가 도입으로 △학생 인성검사 결과 사전-사후 변화도 △기초학력 부진학생 해소율 △지속가능발전 실천 역량 지표 향상도 △아이비(IB) 수업-평가 실천 학생의 수업 만족도 등 교육정책의 현장 실행성을 확인할 수 있는 평가지표가 전반적으로 증가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2025년 도교육청 정책평가는 2024년 시행한 부서별 주요 정책평가에 더해 각 부서의 모든 담당별 정책(사업)으로까지 대상을 확대한다.
이를 통해 부서 담당자의 정책 실행 책무성을 제고하기 위해 힘쓸 계획이다. 또한 기존 상대평가 방식의 본청 정책평가를 절대평가로 전환해 증거기반 정책의 질 관리에도 주력한다. 평가방식 변화로 경기교육 정책의 현장 실행성과 효과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