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24일부터 29일까지 한국형 주소체계(K-주소) 도입을 희망하는 몽골 정부의 공식 요청으로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보와 주소 전문단 4명을 몽골에 파견했다. 사진은 전문단의 활동 모습.  /사진=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는 24일부터 29일까지 한국형 주소체계(K-주소) 도입을 희망하는 몽골 정부의 공식 요청으로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보와 주소 전문단 4명을 몽골에 파견했다. 사진은 전문단의 활동 모습. /사진=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가 한국형 주소체계 도입을 희망하는 몽골 정부의 공식 요청에 따라 몽골에 주소 전문단을 파견했다.

2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보를 단장으로 하는 주소 전문단이 지난 24일부터 오는 29일까지 몽골로 파견됐다. 주소 전문단 파견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행정안전부와 몽골 토지행정청은 지난해 5월 '몽골의 주소체계 현대화 사업 지원'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후 지난해 6월 1차 주소 전문단을 파견했다.


이번 2차 전문단은 한국과 몽골 주소체계 현대화 사업의 후속 조치 이행 상황을 공유하고 담당 공무원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방안 등을 협의하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또 몽골 주소법 개정 컨설팅을 논의하고 '몽골 주소 현대화 시범사업'의 세부 추진 방안도 마련한다.

김민재 차관보는 "한국형 주소체계의 해외 전파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우리 주소산업의 해외 진출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몽골은 울란바토르의 급속한 인구 증가와 도시 확장, 광활한 초원·사막 지역에서의 유목 생활로 인해 체계적인 주소 구축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몽골 정부는 안정적인 주소 개편 경험과 디지털 주소관리 시스템을 갖춘 한국의 주소체계 도입을 희망했다.


행정안전부는 K-주소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몽골 내 지도·물류·공간정보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한국 기업 진출 확대를 기대한다. 또한 이번 파견을 계기로 에티오피아, 탄자니아의 주소 현대화 사업을 본격화하고 한국형 주소체계에 관심이 많은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주소 협력도 확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