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특례시는 산업통상자원부, 문화체육관광부, 국토교통부가 공동 주관한 '2025년 문화선도산단 조성사업' 공모에서 창원국가산업단지가 최종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창원이 산업 중심 도시를 넘어 문화와 예술이 공존하는 융합형 도시로의 전환을 선언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될 전망이다.
이번 공모는 지역 산업단지를 문화가 흐르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국가 주도 프로젝트로, 창원시는 경상남도, 한국산업단지공단 경남지역본부, 창원상공회의소, 지역 국회의원, 참여 기업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치밀한 준비를 통해 성과를 이뤄냈다. 특히 현장실사 당시 홍남표 창원시장이 직접 나서 사업 필요성을 피력하며 강한 의지를 보인 점이 최종 선정에 힘을 실었다는 평가다.
이번 문화선도산단 사업을 통해 창원시는 산업과 문화, 삶이 공존하는 3대 공간 구상을 중심으로 산업단지를 혁신할 계획이다. 핵심 전략은 △새로운 문화거점 조성(Brand New) △노후산단 정비(Renewal) △고품격 문화향유(Upgrade) 등 세 가지다.
'Brand New' 전략으로는 창원국가산단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문화 브랜딩 작업과 함께, 청년문화센터 건립이 추진된다.
'Renewal' 전략에서는 노후 공장 리모델링과 휴·폐업 공장의 창업 공간 전환 등이 주요 과제로 꼽힌다. 이를 통해 근로환경 개선은 물론, 스타트업과 청년 창업을 위한 창업 생태계를 구축과 산단과 마산자유무역지역을 연결하는 핵심 교통 인프라 사업도 진행해 교통 혼잡 문제도 해소한다.
'Upgrade' 전략의 일환으로는 근로자와 시민을 위한 힐링 산책로 '남천길 정비', 산업단지 내 공연·전시·영화 상영 등 '구석구석 문화배달 프로그램', 방위·기계산업과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실감형 콘텐츠 개발', 청년 예술인을 위한 '공예 오픈스튜디오' 조성 등이 포함돼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창원시는 2025년부터 4년간 국비 268억원을 포함한 대규모 예산을 투입해 창원국가산단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미래형 문화산단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홍남표 창원시장은 "창원국가산단은 이제 단순한 생산 중심의 공간이 아닌 일과 문화, 여가가 공존하는 복합 공간으로 진화할 것"이라며 "문화선도산단 사업을 통해 창원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적인 산업·문화 융합 도시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