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국회의장이 대선·개헌 동시 투표를 제안을 철회했다. 사진은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실로 출근 중인 우원식 국회의장의 모습. /사진=뉴스1
우원식 국회의장이 대선·개헌 동시 투표를 제안을 철회했다. 사진은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실로 출근 중인 우원식 국회의장의 모습. /사진=뉴스1

대선·개헌 동시 투표를 제안했던 우원식 국회의장이 자신의 주장을 철회했다.

우 의장은 9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현 상황에서 사실상 (개헌이) 어려워졌다고 판단한다"며 "대선 이후 본격 논의를 이어가자"고 밝혔다. 앞서 우 의장은 지난 6일 대선일에 개헌 국민 투표를 동시에 실시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측이 반대 의사를 밝혔다.


우 의장은 "위헌·불법 비상계엄 단죄에 당력을 모아온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등이 당장은 개헌 논의보다 정국 수습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밝혔고 국민의힘이 주장하는 개헌이 국회 권한을 축소하는 방향이라면 사실상 합의가 불가능하다"고 철회 이유를 설명했다.

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을 지명한 점을 문제 삼으며 "국회를 무시하고 정국을 혼란에 빠뜨렸다"며 "안정적 개헌 논의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개헌을 주장한 이유에 대해서는 "대선 동시 개헌을 제안한 것은 지난 30년 동안 반복한 개헌 시도와 무산의 공회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라며 "대선 전이 대통령 임기를 정하는 4년 중임제를 합의할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라고 판단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12·3 비상계엄이 불러온 국가적 위기와 혼란을 제도적으로 방지하는 방안에 합의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라며 "대통령 권한대행의 자의적 권한 행사를 방지할 필요도 있다"고 강조했다.


우 의장은 "어떤 이유로 의장의 개헌 제안이 내각제 개헌으로 규정됐는지는 알 수 없다.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합리적이고 진지한 토론을 위축시키고 봉쇄하는 선동"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