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사진은 이날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위해 이동하는 한 전 총리. /사진=김동욱 기자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취임 후 3년 안에 개헌에 성공하고 자리에서 물러나겠다는 게 핵심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본격화한 상황에서 통상 현안을 해결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한 전 총리는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국민 여러분께 말씀드리고자 이 자리에 섰다"며 "이번 대선을 통해 국민의 선택을 받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 자리에서 개헌을 약속했다. 임기 첫날 '대통령 직속 개헌 지원 기구'를 만들어 취임 첫해 개헌안을 마련하고 2년차에 개헌 완료하겠다는 게 골자다. 취임 3년차에 새로운 헌법에 따라 총선과 대선을 실시한 뒤 곧바로 직을 내려놓겠다고도 언급했다.

한 전 총리는 "개헌의 구체적인 내용은 국회와 국민이 치열하게 토론해 결정하되 저는 견제와 균형, 즉 분권이라는 핵심 방향만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이 개헌을 이룰 적임자라는 취지로 말했다. 한 전 총리는 "권력을 목표로 살아온 정치인은 개헌에 착수할 수도, 개헌을 완수할 수도 없다"며 "공직 외길을 걸어온 제가 신속한 개헌으로 헌정 질서를 새로운 반석 위에 올려놓겠다"고 다짐했다.


통상 해결에 대한 의지도 밝혔다. 한국의 첫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낸 한 전 총리는 "경제부총리, 국무총리에 이어 주미대사를 지내며 수많은 통상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왔다"며 "이 일을 가장 오래 해온 사람이고 가장 잘할 사람이라고 자신한다"고 했다.

전날 이뤄졌던 더불어민주당의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탄핵안 상정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한 전 총리는 기자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이 갑자기 몇 시간 동안의 결정으로 (최 부총리를) 탄핵해야 한다고 하는지에 대해 비참함과 참담함을 느꼈다"며 "국가와 국민을 위한 일이 아니고 국가의 안전성, 대외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조치를 한 것"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