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한재준 기자 = 6·3 대통령 선거 공식 선거운동 기간이 시작된 12일 각 주자가 유권자의 표심을 잡기 위해 전국 곳곳을 발로 뛰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는 우리나라 첨단 산업이 몰려 있는 경기도 화성과 대전을,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보수 진영 텃밭인 대구로 향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대학가를 찾아 젊은 층 공략에 나섰다.

광화문서 통합 외친 이재명…'반도체·과학 벨트' 동탄·대전서 유세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청계광장에서 출정식을 열고 유세를 시작했다. '빛의 혁명'의 상징적 장소인 광화문 일대에서 국민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출정식에서 "이제부터 진보의 문제는 없다. 이제부터 보수의 문제란 없다. 오로지 대한민국의 문제, 국민의 문제만이 있을 뿐"이라며 "저는 민주당 후보인 동시에 내란 종식과 위기 극복, 국민 행복을 갈망하는 모든 국민의 후보로서 이번 선거에 임하겠다. 더 낮은 자세로, 대통령의 제1사명인 국민통합에 확실하게 앞장서겠다"고 약속했다.
이 후보의 통합의 메시지는 복장에도 반영됐다. 그는 민주당의 상징색인 파란색과 보수 진영 상징색인 빨간색이 모두 들어간 점퍼와 신발을 신고 유세에 나섰다.
출정식을 마친 이 후보는 우리나라의 반도체 산업을 상징하는 경기도 화성 동탄과 첨단과학의 도시인 대전을 연달아 방문했다. '성장'을 우선시하겠다는 대선 공약을 반영했다. 이 후보는 10대 정책 공약 중 1호 정책 비전을 '세계를 선도하는 경제강국 만들기'로 선정하고 인공지능(AI) 등 신산업 육성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이날 동탄 음악분수 중앙광장에서 "정치가 뭡니까. 이념이니, 진영이니, 색깔이니, 지역이니, 그게 뭐가 중요하냐"며 "진짜 중요한 건 국민들 먹고사는 문제, 민생, 경제, 평화, 안전 아니겠냐"고 했다.
이어 "진심으로 그렇게 생각하신다면 이번에는 (저를) 대통령실로 보내달라"고 호소했다.

"민생경제 대통령" 김문수…보수의 심장 대구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서울 가락시장에서 유세를 시작했다. "시장 대통령, 민생 대통령, 경제 대통령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민생 경제를 전면에 세운 김 후보는 이날 오후에는 국립대전현충원과 대구를 잇달아 방문해 보수층 공략에 집중했다.
김 후보는 현충원에서 문광욱 일병, 서정후 하사 등 연평도 포격 전사자 묘역과 나현민 해군 상병, 한주호 준위 등 천안함 전사자 묘역을 참배했다. 과학기술연구원(KIST) 초대 소장이자 초대 과학기술처 장관을 지내며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대부'로 불리는 최형섭 전 과학기술처 장관, 원자력 기술 자립의 꿈을 이끈 한필순 한국원자력 연구소장의 묘역도 둘러봤다.
그는 현충원 참배를 마친 후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신 분들을 모시지 않고 조국의 강산이 존재할 수 있겠느냐"며 "정치를 떠나 이분들의 훌륭한 헌신, 정신을 기리고 이어나가는 것은 국가의 기본"이라고 했다.
김 후보는 이날 대구 서문시장에서 집중 유세를 이어간다. 보수 진영의 텃밭인 대구에서 집토끼부터 챙긴 뒤 본격적으로 외연 확장에 나서겠다는 전략이다.
김 후보가 당내 소장파로 분류되는 김용태 의원을 당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내정한 만큼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한 공식 사과 입장도 나올 거란 관측이다.

"좌도 우도 아닌 앞으로" 젊음·미래 강조한 이준석
전라남도 여수 산업단지에서 선거운동을 개시한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는 이날 연세대를 찾아 유세를 이어갔다. 젊은 후보라는 강점을 앞세워 20대 표심 공략에 나선 것이다.
이 후보는 연세대 학생식당에서 학생들과 함께 점심 식사를 한 뒤 "이준석 정부가 출범하면 어느 정부보다 대한민국 젊은 세대의 문제를 과감한 방식으로 다루겠다"고 약속했다.
'미래를 여는 선택, 새로운 대통령'을 슬로건으로 내건 이 후보는 유세에 앞서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권 교환이 아니라 정권 교체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이번 대선의 시대정신이다. 좌도 아니고 우도 아니고 앞으로 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