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대글로비스가 카메라 비전 기술 기반의 '자율비행 드론'을 물류센터 재고 관리에 투입해 업무 효율화를 이뤄냈다고 7일 밝혔다.
현대글로비스는 올해 상반기부터 자율비행 드론 2대를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안의 통합물류센터(CC)에 투입해 자동차 반조립부품(KD) 재고조사에 활용하고 있다.
드론이 투입되면서 기존의 육안을 통한 재고 조사 대비 시간이 90% 이상(1회 평균 300분→30분)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지상 3.5m 이상에 위치하거나 사각지대에 있어 사람이 놓치기 쉬운 물품의 재고를 쉽게 파악,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재고 조사가 가능해 업무 효율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드론은 기체 이동 시 거리와 속도를 추정하는 컴퓨터비전기술(VIO)과 관성측정장치(IMU)를 이용해 물류센터 내에서 자율 비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보관 중인 물품의 위치를 확보해 재고를 파악할 수 있도록 어안(Fisheye) 카메라와 스테레오 카메라, 거리센서, 가속도·각속도 센서 등을 갖췄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드론에 장착된 어안 카메라를 통해 모서리와 패턴 같은 특징점을 추출하고 가속도·각속도 센서가 물품의 위치를 계산,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높낮이를 추정하는 등 다양한 기술의 조합이 이뤄져 재고 조사를 무리 없이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글로비스는 HMGMA내 CC에 드론 2대를 추가 도입할 예정이며 운영 중인 타 물류센터에도 드론 활용 재고조사 기술 도입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