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3일 기준 755조1331억원으로 지난달 말(754조8348억원) 대비 2983억원 증가했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스1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출 규제를 시행하면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한풀 꺾였다. 지난 1일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에 가계대출 증가 폭은 전월보다 70%가량 급감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3일 기준 755조1331억원으로 지난달 말(754조8348억원) 대비 2983억원 증가했다.


영업일 하루 평균 994억원 늘어난 규모다. 지난달 1영업일 평균 3554억5000만원씩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72% 급감했다. 지난 3일 기준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104조4021억원)에서 635억원 줄어든 104조3386억원으로 나타났다.

주담대는 대출 신청 후 시행까지 1~3개월의 시차가 발생하는 만큼 8월 말 이후가 되면 규제 효과가 나타날 전망이다. 지난 3일 기준 주담대 잔액은 전월 말보다 4059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신청액 추이를 보면 주담대 증가 폭도 크게 꺾일 것으로 예상된다.

시중은행은 대부분 이달 초 비대면 신용·전세대출을 재개했으며 우리은행이 이달 7일, 농협은행이 8일부터 비대면 신용대출 영업을 재개한다. 비대면 주담대는 국민은행을 제외한 5대 시중은행에서 불가하고, 국민은행도 28일 이후 계약 건에 대한 주담대는 받지 않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가계대출 총량 관리 목표치가 크게 줄면서 앞으로도 증가세는 한풀 꺾인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6.27 부동산 대출 규제에 이어 전세대출에 대해서도 DSR을 적용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금융당국은 전세대출도 DSR 적용을 검토하면서 서민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하는 전세대출도 규제할 경우 주거비 부담이 더 심화할 수 있어 신중한 모습을 보인다.

이밖에 비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조정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정책대출의 한도와 공급 규모도 축소했던 만큼 전방위적인 규제책이 마련될 전망이다. 무주택자와 일시적 1주택자를 기준으로 수도권 비규제지역의 LTV는 현재 70%인데 이 비율이 60% 이하로 낮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개인사업자·온투업·대부업을 통해 대출 규제를 우회하는 사례가 늘면 이들에 대한 규제책도 곧바로 발표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