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셀트리온이 미국의 의약품 관세 부과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기·중기·장기 대응 전략을 마련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대 1년 6개월의 유예기간을 두고 의약품 관세를 매길 방침이다.
셀트리온은 9일 주주 서한을 통해 "미국 의약품 관세 부과 움직임을 그동안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상황별 대응 전략을 준비했다"며 단기·중기·장기 계획을 설명했다.
셀트리온은 단기적으로 2년분의 재고를 보유하고 향후에도 2년 동안의 재고를 상시 보유할 계획이다. 중기적으로는 미국 판매 제품은 미국 내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CMO(위탁생산) 파트너와 계약을 완료한다. 장기 대응을 위해선 미국 생산시설을 보유한 회사의 인수를 검토한다. 인수 내용이 구체화하는 시점에 주주에게 관련 내용을 설명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단기뿐 아니라 중장기 전략까지 차근히 진행 중"이라며 "미국 내 의약품 관세 정책이 어느 시점에 어떤 규모로 결정되더라도 회사에 미치는 영향이 없도록 내년 말까지 준비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했다.
셀트리온이 이날 주주 서한을 보낸 건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 관세 부과를 재차 언급한 영향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각) 내각 회의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의약품에 대해 최대 2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언했다. 다만 "사람들에게 약 1년, 1년 반의 시간을 줄 것"이라며 관세가 즉시 발효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