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는 동·서해에 표류하다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송환했다. 길게는 4개월 넘게 남한에 체류했으며 이들은 구조 직후부터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9일 뉴시스에 따르면 통일부는 이날 "정부는 지난 3월(서해)과 지난 5월(동해)에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오늘 동해상으로 함께 송환했다"며 "결과적으로 원활하고 안전하게 송환했다"고 밝혔다. 뒤이어 "송환 시점에 북한 경비정이 인계 지점에 나와 있었다"며 "북한 주민들의 선박은 자력으로 귀환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오전 8시56분 주민들이 탄 목선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갔으며 9시24분 예인용으로 추정되는 북한 어선과 목선이 만나 북측으로 이동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서해와 동해에서 구조된 북한 주민들은 각각 124일과 43일만에 북한으로 돌아가게 됐다. 앞서 북한 주민 2명은 지난 3월7일 서해 NLL 이남에서, 4명은 5월27일 동해상에서 표류하다 구조됐다.
이들은 지속적으로 북으로 귀환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지만 북한이 남북 간 연락 채널을 모두 일방적으로 단절해 송환 논의가 이뤄지지 못했다. 마땅한 소통 통로가 없는 탓에 정부는 유엔군사령부(이하 유엔사)와 북한군 간 직통 전화인 '핑크폰'을 통해 이들의 귀환 의사를 알렸지만 북한은 유의미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주민들이 타고 온 선박을 수리하고 이들을 자력 항해를 통해 돌려보내는 방식을 택했다. 통일부는 유엔사 채널을 통해 이번 송환 일시와 지점 등을 사전 통보했다. 주민들은 수리를 마친 동해 구조 선박에 6명이 함께 승선해 돌아갔다. 서해 구조 선박은 기관 고장으로 운항할 수 없었다.
한때 판문점 육로 송환도 고려됐다. 그러나 남북 간 대화 단절로 북한의 의사를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 북한 당국에 대면 인계를 시도하는 것은 부담감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민간인 북송을 위한 판문점 출입에는 유엔사 승인이 필요한데 유엔사 역시 육로 송환에 부정적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통일부는 6명 전원의 귀환 의사를 여러 차례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북한에 가족이 있는 30~40대 남성들로 정부 고위 당국자와의 일대일 면담에서 하루 빨리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표현을 직접적으로 했다고 전해졌다. 유엔사 군사정전위원회(군정위)와 중립국감독위 두 곳도 각각 이들과 직접 면담해 의사를 들었다. 정부는 안전한 운항을 위해 기상 상황 등을 고려해 송환 날짜를 정했다. 구명조끼와 비상식량을 포함한 인도주의적 차원의 물품도 지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