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로부터 보복성 장난 전화를 받았다는 여성의 하소연이 전해졌다. 사진은 사건 당시 실제 상황. /사진=JTBC '사건반장' 캡처

경찰로부터 10여 통에 달하는 보복성 장난 전화를 받았다는 30대 여성의 하소연이 전해졌다.

지난 28일 JTBC '사건반장'에 따르면 충남 천안에 사는 30대 여성 제보자 A씨는 지난 16일 오전 6시29분부터 약 30분간 같은 번호로 총 16통의 장난 전화를 받았다. 전화를 받으면 끊기고, 다시 걸어도 받지 않거나 금세 끊는 식의 반복이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상대방은 "냐냐냐~ 냐냐냐~ 냐냥냐냥"와 같은 알 수 없는 소리를 반복하거나 "누구세요, 오빠" "왜 자꾸 전화하는 거야"라며 호통치고 전화를 끊었다.

A씨는 수화기 너머로 여성의 웃음소리도 들렸으며 그가 '경찰'이라고 주장했다. 장난 전화가 오기 전날, A씨는 지인들과의 술자리에서 발생한 폭행 사건에 휘말려 경찰에 구두 참고인 조사를 받았다. A씨는 당시 경찰의 태도가 고압적으로 느껴졌다. 이에 A씨는 112에 전화를 걸어 몇 차례 민원을 제기했는데, 이후 이 같은 전화를 받게 됐다.

A씨는 의심이 들어 이날 오전 지구대를 찾아갔고, 해당 번호가 실제 지구대에서 사용하는 경찰 업무용 휴대전화 번호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튿날 다시 지구대를 찾아간 A씨는 장난 전화를 건 경찰과 면담했으며 그가 지구대 소속 '경위'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경위는 "죄송하다. 제가 했다"고 사과하면서도 "후배들에게 본보기를 보여주려 했다. '냐냐냐'는 드라마 보고 따라 한 것"이라고 황당한 해명을 했다. A씨는 지난해 11월부터 불안과 강박 증세로 정신과 치료를 받아오다가 이번 일로 증상이 악화했다. 결국 A씨는 몇 달씩 약물치료가 필요하다는 진단까지 받았다.

해당 내용은 국민신문고에 접수됐고, 최근 해당 경찰서가 감찰에 착수했다. 청문감사관실 담당자는 "해당 경찰이 민원인에게 경솔한 행동을 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아직 조사 초기라 밝힐 수 있는 내용은 없다"고 밝혔다.

사건을 접한 박지훈 변호사는 "경위는 간부급"이라며 "파출소장 역할을 하는 간부급이 이렇게 경솔한 행동을 한다는 게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