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원 사망 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중인 이명현특별검사팀이 오는 31일 이시원 전 대통령 비서실장 공직기강 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한다. 사진은 7일 순직 해병 특별검사팀 정민영 특별검사보가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 브리핑룸에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해병대원 사망 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중인 이명현특별검사팀이 이시원 전 대통령 비서실장 공직기강 비서관을 소환 조사한다.

29일 뉴시스에 따르면 정민영 순직해병특검팀 특별검사보는 서울 서초구 특검사무실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오는 31일 오전 9시30분 이 전 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전 비서관은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 혐의를 받고 있다.


이 전 비서관은 이른바 VIP격노설과 관련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개입의 핵심 통로로 꼽히는 인물이다. 특검팀은 최근 이 전 비서관의 출국을 금지 했다.

이 전 비서관은 경찰에서 군 검찰단이 해병대원 사망 사건을 회수해 온 2023년 8월2일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과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 등과 소통하며 사건 회수에 관여한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팀은 이 전 비서관 등 대통령비서실 공직기강비서관실 관계자들이 대통령실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경북경찰청 사이에 다리를 놓아 이첩 기록 회수 과정에서 관여한 정황을 파악했다.


특검팀은 지난 16일 공직기강비서관실에서 당시 파견 근무를 하던 박모 총경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박총경은 조사 과정에서 이 전 비서관이 이첩한 기록을 다시 가져오는 것을 검토하라는 취지로 지시했다고 진술했다.

특검팀은 주변인들의 진술을 확보해 수사기록 회수 의혹은 어느 정도 확인했으나 직접적으로 관여했다는 의심을 받는 이 전 비서관의 입장을 최종적으로 듣고 논리를 보강할 방침이다. 또 이 사건 수사기록 회수 과정을 구체적으로 듣고 회수 및 사후조치 과정에서 불법행위가 있었는지 여부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