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가 29일 공개한 ‘IMF 7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IMF는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년보다 0.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은 지난 29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가가득 쌓여있는 모습. /사진=뉴스1

올해 상반기에 발생했던 한국 정치적 혼란과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으로 인해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 성장률 전망을 1.0%에서 0.8%로 낮췄다.

지난 29일 뉴스1에 따르면 기획재정부가 이날 공개한 'IMF 7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IMF는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년보다 0.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한국은행·한국개발연구원(KDI)의 전망치와 같은 수준이다.


IMF는 다음달 1일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조치가 종료되더라도, 실제 인상은 이뤄지지 않고 현재 수준에서 관세율이 유지되는 것을 전제로 전망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한국 경제 전망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 다만 라훌 아난드 IMF 한국미션단장은 기재부에 "올해 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은 국내 정치 및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 등으로 예상보다 부진했던 상반기 실적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아난드 단장은 이어 "올해 하반기부터 점진적 경기회복세가 시작돼 내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므로 2026년 전망을 1.4%에서 1.8%로 상향했다"며 "두 차례 추경을 포함한 완화적 정책기조, 국내 정치 불확실성 해소에 따라 2분기 중반 이후 개선된 소비·투자 심리 등에 바탕을 뒀다"고 밝혔다.

MF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2.8%)보다 0.2%포인트 높인 3.0%로 제시했다. 내년 전망치는 3.1%로 0.1%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이는 ▲미국의 실효 관세율 하향 ▲고관세 우려에 따른 조기 선적 증가 ▲달러 약세 등 금융여건 완화 ▲주요국 재정확대 등을 고려한 조정이다.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하방 요인에 집중돼 있다"며 "통상정책의 전개 양상이 리스크의 향방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라고 평가했다.

하방 요인으로는 ▲실효 관세율 상승 ▲관세협상 결렬 등 정책 불확실성 확대를 꼽았다.

IMF는 "이러한 하방 요인이 기업 투자와 무역투자 흐름을 위축시켜 성장세를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며 "지정학적 긴장이 공급망과 물가에 추가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