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연일 이어지는 기록적인 폭염으로부터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전방위적 대응에 나섰다고 1일 밝혔다.
전국적으로 온열질환자와 폐사 가축 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고양시 또한 피해가 심각해 모든 행정력을 동원한 대책을 가동하고 있다.
통계 자료에 따르면 고양시 온열질환자는 지난해 14건에서 지난달 말 현재 34건에 달하는 등 피해가 심각하다. 폭염특보 발령일도 2022년 24일에서 지난해 70일로 급증했다. 올해는 지난달 말까지 24일을 기록했으나, '7말 8초'의 더위 절정과 장기화 전망을 고려하면 지난해 기록을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
고양시는 도로 복사열과 열섬현상으로 인한 체감온도를 낮추기 위해 민·관·군 협력체계를 통해 살수작업을 대폭 강화했다.
각 구청별로 살수차를 2대씩 운영하고 노면 청소용 살수차 6대도 추가 투입해 총 12대를 도심 전역에 배치했다. 살수작업은 폭염특보 발효 시 하루 4시간, 폭염이 지속될 경우 최대 8시간까지 탄력적으로 운행된다.
화정역 인근 200m 구간에는 '쿨링앤클린로드'를 운영해 도로를 통행하는 시민들의 체감온도를 낮춘다. 최근에는 폭염으로 운영시간을 9시부터 17시까지 매 정시 20분씩으로 확대했다. 화정역 7번 집수정 내 유출지하수를 활용해 운영되며, 1회 약 2톤의 지하수가 사용된다.
야외근로자를 위한 대응책도 가동 중이다. '폭염안전 5대 수칙(물, 바람·그늘, 휴식, 보냉장구, 응급조치)' 이행여부를 점검하고, 체감온도 33℃ 이상일 경우 매 2시간 이내 20분 이상 휴식을 부여토록 조치했다.
축산농가 대상 가축 면역력 강화와 환경개선에도 적극 나섰다. 지난 3월부터 7월까지에는 양계·양돈농장 등에 면역증강제 총 1426개와 한우백신 1200개를 공급했다. 이와 함께 약 5300만원(도비 포함) 예산을 투입해 21개 농가 대상 환풍구, 급수기, 에어컨, 안개분무기 등 총 108대의 장비 설치도 지원했다.
무더위에 취약한 저소득층, 홀몸 어르신, 장애인 등을 위한 복지망도 강화했다. 지난달 폭염 취약계층 462가구에 10만 원씩 냉방비를 지원했으며, 이달 초에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2만6000가구에 가구당 5만 원씩 총 13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시민 쉼터 역할을 할 무더위 피난 시설 1370개소의 사전 점검을 완료했으며,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과 중증 재가 장애인의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위급 상황 시 즉시 의료기관과 연계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시민 모두는 소득에 상관없이 재난으로부터 안전할 기본권을 가지고 있다"며 "시민들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도시 전체가 폭염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가능한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