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홀딩스가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1조950억원의 매출과 80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사진=아모레퍼시픽

아모레퍼시픽 그룹의 2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5배 이상 성장했다. 글로벌 리밸런싱에 따른 주요 브랜드 및 핵심 제품의 국내외 성과가 전체 그룹의 실적을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아모레퍼시픽홀딩스는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1조950억원의 매출과 80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1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9%, 555.5% 늘어난 규모다.


주력 계열사인 아모레퍼시픽의 매출은 1조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1% 늘어났다. 영업이익 역시 같은 기간 17배 이상 증가한 736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화장품 및 데일리뷰티 사업의 고른 성과, 서구권에서 지속해서 이어온 고성장, 중화권의 사업 거래 구조 개선 효과에 힘입은 결과다.

아모레퍼시픽의 국내 사업 매출은 5536억원으로 1년 새 8.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402억원으로 164.0% 늘었다.

럭셔리 부문에서는 핵심 제품을 중심으로 한 마케팅 강화 및 시장 대응력 제고 노력이 이어졌다. 프리미엄 부문도 MBS(멀티브랜드숍), e커머스 채널에서의 성장세가 좋았다. 데일리뷰티 부문 역시 브랜드별 핵심 기능성 제품의 매출이 고성장했고 e커머스 및 MBS 경로 매출 확대로 채널 리밸런싱을 이어가며 전체 성장에 기여했다.


같은 기간 해외사업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4.4%, 611.0% 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미주 시장에서는 에스트라, 한율 등 신규 브랜드 론칭과 라네즈, 이니스프리 등 주요 브랜드 핵심 제품의 지속적인 고성장을 바탕으로 매출이 10% 늘었다. EMEA(유럽·중동아시아) 지역 매출도 18% 성장했다.

중화권 시장도 사업 거래 구조 개선 효과를 바탕으로 2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으며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23% 성장했다. 기타 아시아 시장의 매출도 9% 늘었다.

이니스프리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 자회사는 매출 성장세를 보이며 실적에 힘을 보탰다. 이니스프리의 2분기 매출은 532억원, 영업이익은 23억원으로 집계됐다. 오프라인 로드숍 축소 등 채널 재정비로 인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했고 주요 e커머스 플랫폼에서 전략적 마케팅에 집중하고 비용 효율화를 통해 영업이익은 81% 늘었다.

에뛰드는 핵심 제품을 중심으로 온라인, MBS 채널에서 성과를 보이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1년 새 10%, 196% 증가했다. 에스쁘아는 페이스 메이크업 브랜드 전문성을 강화하고 글로벌 진출에 속도를 내 전년 동기 대비 10% 늘어난 19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6억원으로 6% 감소했다.

아모스프로페셔널은 전년 동기 대비 9% 늘어난 209억원의 매출과 14% 증가한 25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오설록의 2분기 매출은 209억원으로 9% 늘었고 영업이익은 전년과 비슷한 27억원을 기록했다.

아모레퍼시픽 측은 "주요 자회사도 브랜드 가치 강화를 통해 그룹 매출 및 영업이익 성장에 기여했다"며 "해외시장에서 집중 성장 지역을 중심으로 한 유통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다양한 사업 모델을 시도하며 글로벌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