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한국 사회가 직면한 기후 위기, 인구구조 변화, 디지털 기술혁신이라는 '삼중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정책 전반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19일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제19회 국제 사회보장 학술대회'에 참석해, "자본주의가 가진 불공정과 불형평성 문제를 기존 방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경기도는 지난 정부의 역주행 속에서도 삼중위기에 대응했다"며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 위기를 360도 돌봄 체계, 간병 SOS 프로젝트 등을 통해 돌봄사회의 기회로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RE100 선언, 기후행동기회소득, 기후보험, 기후도민총회 등의 경기도 정책을 언급하면서 "기후 위기를 사회안전망과 민주주의 강화를 기회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이 행사는 한·중·일 3국과 서구 국가들의 삼중전환 시기 사회보장의 최근 동향과 경험을 공유하고 미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취지로 개최했다. '삼중전환과 사회보장 개혁; 전환기 사회보장의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경기복지재단,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등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사회정책학회와 연세대학교 복지국가연구센터가 공동 주관한다.
이날 개막식에는 김동연 지사, 박주민, 백선희 국회의원, 박능후 전 보건복지부 장관, 하연섭 연세대학교 부총장, 김연명 중앙대 교수 등 국내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또 중국의 정공성 중국 인민대 교수(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 일본의 코지마 카츠히사 조사이 국제대 교수 등 한·중·일 사회정책학회 회원과 학계전문가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