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남도가 새 정부의 균형발전 전략에 발맞춰 광주·전남 공동 특별지방자치단체 출범과 에너지·해양 특화도시 육성, 위기에 직면한 석유화학·철강 산업 회생에 행정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19일 도청 기자간담회에서 "새 정부의 '5극 3특' 전략과 국정과제 방향에 따라 전남의 미래 비전을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지방소멸 위기 대응책으로 추진해온 '전남특별자치도' 구상은 초광역 발전 정책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광주·전남 특별지방자치단체 구성을 조속히 추진하고 장기적으로는 행정 통합까지 검토한다. 오는 27일 광주시와 함께 선포식을 열 예정이다.
전남의 비교우위 자원인 재생에너지와 해양자원을 활용한 '전남 에너지·해양 특화도시 특별법' 제정도 본격 추진한다. 김 지사는 "재생에너지 공공개발을 통해 에너지 기본소득 기반을 마련하고 주민과 성과를 공유하는 사회를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도는 2030년까지 23GW 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을 달성해 '에너지 기본소득 1조 원 시대'를 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위기를 겪고 있는 석유화학·철강 산업의 재도약도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올해 365억원을 투입한 데 이어 내년에는 1520억원 규모의 지원을 확대해 자원순환 시범산단, 합성고무 제조 등 신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며 관련 산업단지를 분산에너지특구와 마이크로그리드 산단으로 전환해 기업 전기료 부담을 덜겠다는 방침이다.
교통 현안 개선에도 나선다. 호남선·전라선 고속철도 이용객이 오송역 우회로 인해 추가 요금을 내는 불합리한 구조를 개선하고 장기적으로는 천안아산~공주 직선 신선 개설을 통해 이용객의 불편을 덜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립의대 설립과 관련해선 정부가 지역의사제 도입을 추진하는 만큼 2027학년도 전남도 국립의대 개교 가능성을 기대했다. 국립의대가 설립되면 지역의료제를 가장 먼저 도입하겠다는 방침이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사고조사에 대해선 철저하고 객관적이며 공정한 진상 규명, 특히 유가족이 납득할 만한 결과가 나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영록 지사는 "도정 주요 현안이 도민이 체감하는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도록 도정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 전남이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진짜 성장의 핵심축으로 도약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