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트윈스 외국인 투수 앤더스 톨허스트. (LG 트윈스 제공)

(서울=뉴스1) 이상철 기자 = '우승 청부사' 임무를 받고 8월 KBO리그에 입성한 두 외국인 투수가 맞대결에서 희비가 교차했다.

LG 트윈스의 앤더스 톨허스트는 두 차례 만루 위기를 막고 무실점 호투를 펼쳤으나, 롯데 자이언츠의 빈스 벨라스케즈는 고비를 극복하지 못하고 무너졌다.


톨허스트는 19일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린 2025 신한 SOL뱅크 KBO리그 롯데와 홈 경기에 선발 등판해 6이닝 동안 85구를 던지며 5피안타 2볼넷 6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직구(37개)와 커터(21개), 포크볼(19개), 커브(8개)를 던졌으며 직구 최고 구속은 153㎞까지 나왔다.

롯데의 9연패를 막기 위해 출격한 벨라스케즈는 5이닝 7피안타 2볼넷 3탈삼진 3실점으로 고개를 숙였다.


벨라스케즈의 투구수는 92개였고 직구 최고 구속은 151㎞로 측정됐으나 LG 타선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6회초를 마친 현재 LG가 3-0으로 앞서고 있다. 이대로 경기가 종료될 경우, 톨허스트가 승리를 챙기고 벨라스케즈는 패전의 멍에를 쓰게 된다.

LG와 롯데는 이달 초 외국인 투수 교체라는 승부수를 던졌다. LG는 지난해 포스트시즌에서 맹활약한 엘리에이저 에르난데스와 작별했고, 롯데 역시 '10승 투수' 터커 데이비슨을 방출했다.

두 팀 모두 한국시리즈 우승을 위해 더 뛰어난 투수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롯데는 메이저리그(MLB) 통산 38승을 거둔 벨라스케즈를 영입했고, LG는 빅리그 경험은 없지만 마이너리그에서 뚜렷한 성장세를 보인 톨허스트와 계약했다.

LG 트윈스 외국인 투수 앤더스 톨허스트. (LG 트윈스 제공)

큰 기대를 받고 합류한 두 외국인 투수의 명암은 KBO리그 데뷔전에서 극명하게 엇갈렸다.

톨허스트는 12일 KT 위즈전에서 7이닝 2피안타 무사사구 7탈삼진 무실점 호투를 펼쳐 첫 승을 수확했다. 반면 벨라스케즈는 13일 한화 이글스전에 출격해 3이닝 6피안타 2볼넷 2탈삼진 5실점으로 패전을 떠안았다.

그리고 둘은 같은 날 두 번째 등판에서 맞대결을 펼쳤다.

'안방' 잠실구장에 처음 등판한 톨허스트는 2경기 연속 호투, 기대에 부응했다.

1회초를 공 13개로 끝낸 톨허스트는 이후 매 이닝 주자를 내보냈으나 뛰어난 위기관리 능력을 펼쳐 한 점도 허용하지 않았다.

큰 위기는 두 차례 있었다.

톨허스트는 2회초 1사 1, 2루에서 김민성을 삼구 삼진으로 돌려세운 뒤 전민재를 투수 땅볼로 유도했다. 그러나 톨허스트가 포구 실책을 범했고, 이닝은 끝나지 않았다.

만루 위기에 몰린 톨허스트는 152㎞ 빠른 직구로 황성빈을 헛스윙 삼진 처리, 무실점으로 막았다.

6회초에도 만루 위기가 찾아왔다.

톨허스트는 안타 2개와 몸에 맞는 볼 1개로 1사 만루 위기를 자초했다. 하지만 톨허스트는 절묘한 포크볼로 전민재를 삼진으로 잡았고, 이어 대타 노진혁을 1루수 땅볼로 유도해 실점을 막았다.

롯데 자이언츠 외국인 투수 빈스 벨라스케즈. (롯데 자이언츠 제공)

2경기 연속 득점 지원을 받지 못한 벨라스케즈는 '후반기 팀 타율(0.298) 1위' LG를 상대로 고전했다.

벨라스케즈는 1회말 1사 1, 2루 위기를 잘 극복한 뒤 2~3회말을 삼자범퇴로 끝내며 순항했다.

그러나 4회말 첫 장타를 허용한 게 실점으로 이어졌다.

벨라스케즈는 4회말 2사에서 김현수를 볼넷으로 내보낸 뒤 오지환과 풀카운트 접전을 펼쳤다. 그리고 결정구로 체인지업을 던졌다가 우중간으로 빠지는 1타점 2루타를 맞았다.

5회말에도 벨라스케즈는 LG 타선을 봉쇄하지 못했다.

선두 타자 구본혁에게 안타를 맞은 뒤 희생번트를 시도하려던 박해민에게 볼넷을 내준 것이 화근이었다.

벨라스케즈는 신민재의 희생번트로 아웃카운트 한 개를 잡았으나 1사 2, 3루에 몰렸다. 이어 문성주에게 밋밋한 체인지업을 던져 2타점 적시타를 허용했고, 실점은 3점으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