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박정희 체육관 냉난방기 소음으로 주민들이 피해를 호소하자 시는 합판과 에어 방음벽을 설치했으나 극히 일부 구간에만 적용해 소음 차단 효과는 불투명하다.(사진 오른쪽 에어 방음벽)/사진제공=머니S 독자제공


구미시가 수십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진행한 박정희체육관 냉난방기 교체 공사가 졸속으로 진행돼 인근 지역에 심각한 소음 피해를 발생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구미시는 이번 사업에 총 14억원을 들여 가스식 히트펌프(GHP) 35대와 전기식 히트펌프(EHP) 26대 등 61대의 실외기를 설치했다. 그러나 부적합한 GHP 장비가 대거 도입되면서 가동 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근 주민들의 생활권이 크게 침해되고 있다.


문제가 불거지자 시는 합판과 에어 방음벽을 설치하며 임시 대응에 나섰지만 근본적인 대책없는 임시방편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수억원의 혈세가 추가로 투입될 예정이어서 '예산 낭비' 논란까지 불거졌다.

한 주민은 "밤낮없이 실외기 소음이 이어져 수면은 물론 대화조차 어렵다"며 "처음부터 주택 방면이 아닌 주차장 방면에 설치했더라면 피해가 줄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주민은 "졸속 행정이 빚은 결과"라며 성토했다.

이에 대해 구미시 체육진흥과 관계자는 "소음 피해 차단 방안을 검토 중이며 방음벽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돼 신중히 논의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GHP 장비 도입에 대해서도 "에너지 합리화법상 전기식과 혼용이 필요하다"는 원론적 답변만 내놨다.


현장을 찾은 김정도 구미시의원은 "빠른 시일 내 소음 해결책을 마련하고 행사 후 쓰레기 처리, 생활환경 개선까지 포함한 종합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기계 교체가 아니라 구미시 행정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 대표적 사례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수십억 원이 투입되는 공공사업에서 충분한 사전 검토 등 필수 행정 절차조차 누락된 채 추진된 것은 행정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태다.

앞서 구미시는 공공시설에 중국산 자재를 대량 사용하면서 수개월간 이어진 유독 냄새로 민원인들이 시설 이용에 큰 불편을 겪은 바 있다. 당시에도 부실 행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번 소음 피해 사태까지 이어지며 구미시의 무책임한 시설 행정 전반에 대한 시민 불신은 한층 깊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