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정부의 6·27 대책으로 고가주택 거래 비중은 줄었으나 집값 상승 요인은 여전하다고 분석했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전경. /사진=뉴스1

정부의 고강도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6·27 대책)에도 한국은행은 수도권 집값과 가계부채 리스크가 여전하다고 진단했다. 정부의 6·27 대책으로 고가주택 거래와 대출 증가세가 둔화했지만 서울 집값 기대가 꺾이지 않아 시장이 재차 과열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0일 한국은행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정부 가계부채 강화 방안 시행 이후 고가주택 거래 비중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서울의 8억6000만원 초과, 12억원 초과 주택 거래 비중이 각각 36.8%, 23.2%로 전월 51.3%, 33.9% 대비 급감했다.


가계대출 역시 감소세다.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7월 기준 전월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한은은 "6·27 대책에 따른 한도 감소 등 직접적 효과뿐 아니라 금융기관이 자율적으로 가계대출 관리 조치를 강화했다"며 "생활자금용 주담대와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대책 효과가 오래가지 못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보고서는 "서울 지역 주택가격 상승 기대가 충분히 가라앉지 않은 상황"이라며 "지역 간 전이효과, 공급 부족 우려, 금융 여건 완화 등이 맞물릴 경우 수도권 주택시장이 재차 과열되고 가계부채 증가세도 다시 보일 수 있다"고 짚었다.


금리 인하 효과는 올 하반기부터 뚜렷해질 전망이다. 지난 6월 이후 경제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된 가운데 금리 인하 효과가 성장에 반영되는 시차가 2~3분기라는 점 때문이다.

한은 관계자는 "주택시장과 가계부채 등에 대한 추세는 좀 더 점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과거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에도 주택시장은 통상 수개월 둔화세를 보이다 재차 반등하는 양상을 나타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