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대진단./사진=광주시

광주광역시는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고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다음달 30일까지 50일간 '2025년 광주안전대진단'을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른 전국 단위 점검의 일환으로 광주시와 5개 자치구, 민간 전문가, 시민안전관찰단이 함께 참여하는 민·관 합동 방식으로 추진된다.


점검 대상은 △공공시설물 142곳 △전통시장과 다중이용시설 126곳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노후 공동주택 92곳 등 총 360개소이며 CCTV 통합관제센터와 연결된 방범비상벨 3226개소의 작동 여부도 점검한다.

특히 최근 3년간 지적된 보수·보강 미이행 시설의 후속 조치 이행 여부를 집중 확인하고 안전점검시스템 이력 관리도 병행할 계획이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시민 이용이 많은 전통시장과 다중이용시설은 분야별 체크리스트를 통해 화재 예방과 시설 안전 상태를 세밀히 살펴본다.


화재안전 취약세대에는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소화기를 지원해 실질적인 안전 확보에 나선다. 시민안전관찰단 29명은 CCTV 방범비상벨 점검에 직접 참여하며 '안전점검의 날'과 연계한 자율 안전점검 홍보 캠페인도 전개한다.

김준영 시 시민안전실장은 "이번 안전대진단은 시민 생활과 밀접한 시설을 선제적으로 관리하는 조치"라며 "현장 중심의 철저한 점검을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도시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