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충우 여주시장의 핵심 공약인 산업단지 조성 사업이 '장밋빛 청사진'만 제시하고 실제 착공과 고용 창출은 미미해 '공수표 행정'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15일 여주시에 따르면 총 15개 일반산업단지 중 7곳은 지정고시가 완료됐지만, 대부분은 계획 단계에 머물러 있다. 유일하게 착공이 구체화된 가남반도체 일반산단마저도 내년 상반기 착공 예정이어서 기업 입주까지는 최소 2~3년이 더 소요될 전망이다. 시는 이 산단에 20여 개 반도체 기업이 입주할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투자 확정이나 계약은 없는 상태다.
2023년 9월 김동연 경기도지사까지 참석해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2차전지 신소재 A기업의 공장 기공식은 현재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시공사는 총 계약금 351억원 중 98억원만 입금되어 공사 계약 해지 및 '유치권 행사' 현수막을 내걸었다. 시민들은 "기공식만 요란했다"며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192명 고용 창출 계획도 현재까지 이뤄지지 않았다.
이 외에도 150명 고용을 기대했던 B기업은 MOU 체결 이후 착공 일정조차 불명확하며 특장차 생산기업 C사와 물류단지 개발기업 D사의 대규모 투자 유치 역시 '의향서'와 '협약' 단계에 머물러 구체적인 착공이나 고용 계획이 불분명한 상황이다.
지역 정치권과 전문가들은 산업단지 조성정책의 구조적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한 지역 정치인은 "산업단지 조성은 단순한 부지 확보나 지정 고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기업의 입주와 생산 활동, 고용창출까지 이어져야 의미가 있다"며 "여주시의 경우 현재 행정적 절차만 강조되고 있어 정책의 방향성 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산업단지 조성은 지역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사업이지만 여주시 행정은 선언적 계획에 머물러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여주시의회 한 의원은 "여주시의 산업단지 개발과 기업유치 전략은 분명 야심차지만 현재까지는 '계획'과 '의향서' 중심의 발표만 이어지고 있다"면서 "실제 성과는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다 실질적인 실행력이 요구된다"면서 "기대만 부풀리는 전략이 아닌, 고용과 생산으로 이어지는 정책적 전환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여주시 관계자는 "산업단지 조성과 기업유치 활동은 단순한 선언이 아닌,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 단계별로 착실히 추진 중"이라며 "일부 산단은 착공을 앞두고 있으며, 토지 보상과 인허가 절차가 완료되는 대로 공사가 시작될 것"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