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카오맵이 리뷰 제도를 손질한다. 악성 별점 테러, 이른바 '좌표찍기'로부터 업주를 보호하고 이용자에게는 신뢰성 높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치다.
18일 김장겸 의원실(국민의힘·비례)에 따르면 카카오는 업주에게 카카오맵 리뷰 관리 권한을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해 시행에 나선다.
가장 큰 변화는 '후기 미제공 상태' 해제 방식이다. 지금까지는 리뷰 테러로 인해 후기를 잠시 차단했다가 다시 공개하면 기존 댓글이 그대로 노출됐지만 앞으로는 업주가 과거 리뷰를 다시 공개할지 여부를 직접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카카오는 리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인증 체계도 강화한다. 리뷰에 사진을 첨부하면 현장 촬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값 인증 표시가 달리고 카카오 링크 예약을 통한 결제 후 작성된 리뷰에는 '결제 인증' 마크가 붙는다. 이렇게 실제 방문이 인증된 이용자의 리뷰는 상단에 우선 노출되도록 할 계획이다.
카카오맵은 네이버 지도와 달리 누구나 자유롭게 리뷰를 남길 수 있어 '광고가 아닌 진짜 리뷰를 볼 수 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사건·사고 발생 시 특정 업주가 집단적인 별점 테러에 노출되는 부작용이 잦았다.
실제로 지난해 말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집회 당시 선결제를 받았던 일부 매장이 카카오맵에서 무차별 별점 테러를 당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들 매장 카카오맵 리뷰에는 1점대 별점과 함께 허위 사실을 바탕으로 한 비방 댓글이 달리는 등 피해가 발생했다.
카카오는 그동안에도 ▲장소와 무관한 후기가 반복될 경우 자동 차단하는 '장소 세이프 모드' ▲매장주가 직접 후기를 숨길 수 있는 '후기 미제공 설정' 등을 운영해왔다. 또 계정당 동일 장소에 1개의 리뷰만 작성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장소와 무관한 이야기나 추측성 내용은 사전 고지 없이 삭제할 수 있도록 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앞으로도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정책을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