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국정감사가 10월13일부터 시작된다. / 사진=뉴시스DB

추석 연휴 이후 시작되는 이재명 정부의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재계의 긴장감이 커진다. 국회의 각 상임위원회 별로 주요 기업인들의 줄소환을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 국감에서 증인으로 채택된 기업인 수는 역대 최대 규모이다. 지난해 10월 22대 국회 국감 당시 기업인 증인은 159명이었으나 올해는 이를 넘어설 것이란 관측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이해욱 DL그룹 회장 등도 국감 증인으로 채택됐다.

국회 정무위원회는 최태원 회장을 불러 계열사 부당지원 관련 실태 등을 점검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정용진 회장에게는 중국 알리바바와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것에 대해 개인 정보보호 관련 대응책을 따져 묻기로 했다.

국토교통위원회는 건설업계의 중대재해사고와 관련해 주요 건설사 대표들을 증인으로 무더기 채택했다. 이해욱 DL그룹 회장을 비롯해 김보현 대우건설 대표, 정경구 HDC현대산업개발 대표, 허윤홍 GS건설 사장 등이 줄줄이 소환됐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잇단 해킹 사태와 관련해 통신사 대표들을 불러다 책임을 물을 계획이다.

국감 시작일을 앞두고 다른 상임위에서도 기업인들을 증인이나 참고인으로 채택하는 사례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재계는 국정운영 실태 전반을 점검하는 국감이 매년 기업인 국감으로 변질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기업인들을 줄소환 해 공격적으로 질문을 쏟아내면서 정작 답변하려는 증인들의 말을 자르거나 해명할 기회조차 제대로 주지 않는 행태가 반복되고 있어서다.

이 때문에 '망신주기 국감' '호통 국감'이라는 오명도 뒤따른다. 글로벌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기업인들을 무분별하게 국감 현장을 소환해 망신을 주는 행태가 관행처럼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재계의 우려가 커진다.

이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둔 시점에서 기업인들을 소환하는 건 부당하다는 지적이다. APEC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기업과의 협력이 절실한 상황에서 국감 준비에 매진해야 하기 때문이다.

재계 관계자는 "국감은 국정 운영 실태를 집중 점검해야하는 자리"라며 "무분별하게 기업인들을 불러다 망신을 주는 행태는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