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동만 국회의원(국민의힘, 부산 기장군)이 '기장-장안 송전선로'의 지중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정 의원은 지난 20일 한국전력공사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부산 기장군 달음산과 일광산 일대를 잇는 10km 송전탑 건설사업은 심각한 주민 갈등을 야기하고 있어 한전은 즉각 지중화 등 대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전 남부건설본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154KV 기장-장안 송전선로' 건설사업은 기장·일광·정관읍을 경유하며 송전철탑 27기를 세우는사업으로 2022년 9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 승인을 받았다. 기장의 명산 일광산과 달음산을 통과하는데 이는 기장의 수려한 자연경관을 크게 훼손할 뿐 아니라 송전탑과 선로가 지나가는 경로에는 일광신도시와 장안택지가 인접해 있어 주거환경 침해도 우려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한전은 '단일계통 해소와 정전 위험 예방'을 위해 필요한 사업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한전이 2016년 예측한 명례변전소의 2023년 부하량은 216MW였으나 실제 2024년 해당 지역(명례+장안) 실적은 71MW로 예측치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며 기장군 전체 부하 또한 예측치(511MW)의 절반 이하인 229MW로 나타났다.
정 의원은 "최근 10년간 해당 지역 선로 고장은 단 2건뿐이며 한전이 지목한 '구서–노포 구간'에서도 정전은 단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다"면서 "실제 정전 가능성이 이렇게 낮은데 대규모 송전탑 설치로 주민 갈등만 부추기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날 정 의원은 "기장군에만 부산 전체 송전탑 706개 중 40%에 달하는 287개가 이미 설치되어 있다"며 "서울은 지중화율이 90%, 인천은 75%인데 원전 지역 주민에게 우대는커녕 추가로 10km 송전탑을 세우는 것이 납득이 되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