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업계가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 기간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제네릭(복제약) 의약품 무관세 유제와 최혜국 대우 약속이라는 성과를 낸 덕분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30일 논평을 통해 "한미 간 관세 협상이 타결된 것을 크게 환영한다"며 "협상 타결을 위해 헌신해 주신 정부 관계자들의 노고에 박수를 보낸다"고 전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전날 한미정상회담 브리핑에서 "품목 관세 중에서 의약품은 최혜국 대우를 받기로 했다"며 "제네릭 의약품 등은 무관세를 적용받기로 했다"고 말했다. 최혜국 대우 시 한국은 유럽연합(EU)·일본과 유사한 15% 수준의 의약품 관세를 부과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이후 의약품에 대한 고율의 관세 부과 예고로 대미 수출 기업들의 우려가 높은 상황이었는데 이번 협상을 통해 불확실성이 제거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성과라는 게 협회 입장이다. 주요국과 견줬을 때 불리하지 않은 관세 조건을 보장받게 돼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국내 기업들의 주요 수출 품목인 바이오시밀러에 대해서도 무관세가 유지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선 대통령실 브리핑에서는 바이오시밀러 관련 내용이 포함되지 않아 바이오시밀러 무관세 적용 여부가 불분명한 상황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으로의 의약품 수출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며 "정부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해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 뒷받침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협상 타결을 다시 한번 환영하며 향후 민관 협력 체계 강화 등을 통해 우리 의약품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허가 및 현지 유통 과정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노력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