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이 개발한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Polyhydroxyalkanoates)의 상용화 범위가 넓어진다. 이 소재는 위생행주와 빨대, 인조잔디 충전재 등 국내외 산업계에 적용될 예정이다.
CJ제일제당은 PHA를 적용한 '빨아쓰는 생분해 위생행주'와 '생분해성 빨대' 등을 출시한다고 26일 밝혔다. PHA는 토양과 해양 등 자연환경에서 분해돼 미세 플라스틱을 남기지 않는 소재다.
'빨아쓰는 생분해 위생행주'는 PHA가 위생용품에 상업화된 첫 사례다. CJ제일제당과 유한킴벌리, 유진한일합섬 3사가 협력해 PHA, PLA, 펄프 등 생분해성 소재만으로 개발했다. 국내 공인시험기관에서 45일 만에 90% 이상 생분해되는 결과를 얻었으며(ISO 14855 기준), 크리넥스 브랜드로 출시된다.
PHA를 적용한 '생분해성 빨대'는 내년 초 폴바셋 일부 매장에서 시범 도입된다. 석유계 소재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향후 국내 다른 카페 프랜차이즈로 도입을 확대할 계획이다. 미국에서도 현지 공급업체와 협력해 PHA 빨대 공급을 늘려가고 있다.
산업용 소재로도 적용된다. 이달 초 스웨덴 바이오소재 기업 BIQ머티리얼즈와 협력해 현지 축구장 일부에 인조잔디용 충전재로 PHA를 공급했다. 이는 유럽연합(EU)이 2031년부터 미세플라스틱을 유발하는 석유계 충전재 사용을 금지하는 데 따른 것이다.
CJ제일제당은 2022년 생분해 소재 브랜드 'PHACT'(팩트)를 론칭한 후 PHA 적용 제품을 확대해왔다. 2022년 '바닐라코' 클렌징밤 용기를 시작으로 2024년에는 올리브영 '오늘드림' 서비스의 상품 포장재에 PHA 비닐을 도입했다. 이 외에도 '러듀얼 칫솔', '햇반 컵반' 포장재 등에도 PHA를 적용했다.
PHA는 미생물이 식물 유래 성분을 먹고 세포 안에 쌓는 고분자 물질이다. 최근에는 미국 플라스틱산업협회로부터 '2025 바이오플라스틱 어워드 혁신상'을 받았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국내외 파트너사와 협력해 PHA 상용화를 확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환경 부담 저감을 고려한 생분해성 소재 솔루션을 선보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