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인구정책연구원 조감도./사진제공=경상북도


경상북도가 2025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성과를 제도화하고 지역 전역으로 확산하기 위한 '평화 APEC 3대 후속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경북도에 따르면 도는 인구정책 협력, 평화 정원 관광, 통일 메신저 육성 등 세 축을 중심으로 글로벌 협력체계 구축과 지역 발전 동력을 동시에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도는 우선 저출생·고령화라는 국가적 인구위기와 경북의 지역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기구 성격의 'APEC 인구정책 협력위원회' 창설과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할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의 경북 설립을 추진한다.

이는 이번 APEC에서 채택된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체계'를 구체화하기 위한 글로벌 협력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도는 이미 연구용역을 마쳤으며 정부와 국회를 대상으로 국비 확보 활동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국립 인구정책 연구원은 저출생·인구구조 변화 등 국가 인구전략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성격으로, 국비 400억원이 투입되는 국가급 프로젝트다. 경북도는 APEC 개최 지역으로서 글로벌 인구정책 네트워크 구축에 최적지라며 정부 차원의 설립 결정을 촉구하고 있다.


두 번째 축은 APEC이 강조한 평화·번영의 가치를 문화·관광 분야로 확산하기 위한 '신라통일 평화 정원' 조성 사업이다. 경주 일원에 조성될 이 정원은 신라통일 정신과 평화를 주제로 한 미래형 정원·숲길 프로젝트로, 미래 통일정원·화랑 평화정원·신라 왕경 숲정원 등 3대 정원과 '천년 평화 숲길'을 포함한다.

총 사업비는 320억원(국비 160억원 포함) 규모로 도는 기본계획을 토대로 중앙부처·국회와 협의를 이어가며 추진 기반을 다지고 있다.

세 번째 축은 APEC 개최로 높아진 국제적 위상을 교육·연구 분야로 확장하기 위한 '한반도 평화통일 미래센터' 유치 계획이다. 도는 분단 80년 동안 희미해진 통일 의식을 되살리고 청년 세대가 평화·통일의 필요성을 체감할 수 있는 전담기관을 구축한다는 목표다.

센터는 490억원 규모로 통일 교육지구·한반도 공감지구·세계 평화지구 등을 포함한 종합 교육·체험 공간으로 조성된다. 도는 올해 내내 국회와 통일부를 상대로 지속적으로 사업 필요성을 설명해 왔으며 내년도 국비 확보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APEC 성공을 경북의 미래 전략과 연계해야 한다"며 "저출생과 지역소멸이라는 국가적 위기가 시작된 곳이 경북인 만큼 인구정책 국제협력체계를 이끌고 평화·통일의 가치를 세계로 확산하는 중심지가 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