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후 장기간병에 대한 염려./제공=삼성생명 은퇴연구소 |
삼성생명 은퇴연구소가 삼성생명의 모바일 고객패널 중 40대 이상 중장년층 83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8.1%가 “노후에 장기 간병이 필요할까 염려된다”고 답했다.
15일 삼성생명 은퇴연구소는 ‘간병에 필요한 오해와 진실’ 보고서를 통해 ▲사회적 차원에서 장기 간병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조치와 함께 ▲개인적 차원에서도 장기 간병이 필요한 상황에 대해 어떻게 대비할 것인지 준비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성별로는 여자(82.8%)가 남자(74.6%) 보다 간병에 대해 염려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40대가 74.7%, 60대 이상이 83.3% 등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염려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들은 간병상태가 길어질 경우 “가족에게 짐이 되는 것”(66.0%)을 가장 많이 염려한다고 답했다. 이어 “노후자금을 간병비로 소진하는 것”(16.1%), “나를 돌봐줄 사람이 없는 것”(12.0%) 순이었다.
![]() |
현재 장기간병비 마련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것./제공=삼성생명 은퇴연구소 |
장기간병이 필요할 경우 응답자의 60%가 ‘전문간병인’에게 간병 받기를 원했다. 30%는 배우자에게 받고 싶다고 답한 반면 자녀에게 받기 원한다는 응답은 1.3%로 소수에 불과했다.
삼성생명 은퇴연구소는 “본인이나 가족이 장기간병 상황이 될 경우 재정적 부담뿐만 아니라 갑작스런 생활 변화, 가족 간의 갈등 등으로 가족 전체가 위기를 겪을 수 있다”며 “사회적 차원에서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해 장기 간병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하는지, 또 개인적 차원에서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공론화와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