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투자증권이 6억 달러 규모의 외화채권 발행에 성공하면서 외화채 발행 시장에 성공적으로 데뷔했다./사진=뉴시스 |
한국투자증권이 지난 13일 6억 달러 규모의 외화채권 발행에 성공하면서 외화채 발행 시장에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이번 발행된 채권은 한국투자증권이 처음으로 발행한 외화채권이다. 3년과 5년 만기 각각 3억 달러 규모로 미국 3년물 국채 금리에 110bp(1bp=0.01%), 미국 5년물 국채 금리에 135bp의 가산 스프레드를 더해 1.49%(3년), 2.13%(5년)로 금리가 확정됐다.
이번 발행된 채권은 한국투자증권이 처음으로 발행한 외화채권이다. 3년과 5년 만기 각각 3억 달러 규모로 미국 3년물 국채 금리에 110bp(1bp=0.01%), 미국 5년물 국채 금리에 135bp의 가산 스프레드를 더해 1.49%(3년), 2.13%(5년)로 금리가 확정됐다.
첫 외화채권 발행에 트랜치(만기와 금리를 달리해 분할 발행된 채권)를 두개로 나눠 발행한 것은 국내 민간 금융사 가운데 처음이다. 한국투자증권이 국내 증권업에서 쌓아온 입지와 자신감이 반영됐다는 평가다. 조달한 자금은 홍콩∙미국∙베트남 등지의 한국투자증권 현지법인 증자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한투증권의 수익성과 안정성을 인정 받는 계기가 됐다”며 “향후 안정적으로 외화를 조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 글로벌 투자은행(IB) 사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국내 증권사 중 달러채 발행에 나섰던 곳은 미래에셋증권이 유일했다. 미래에셋증권은 2018년 첫 발행 이후 매년 달러채 시장을 찾아 외화 조달을 이어오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달 3억달러(최근 환율 기준 약 3386억원) 규모의 글로벌 그린본드를 발행했다. 이번에 발행된 미래에셋증권의 그린본드는 3년 만기 구조로 발행됐으며 미국 국채 3년물 금리에 스프레드(가산금리) 95bp(0.95%포인트)를 더해 1.42%로 금리가 확정됐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투자업계는 이번 발행을 통해 작년 코로나 상황에서도 증권사 최초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한 수익성과 안정성에 대해 투자자들의 신뢰를 다시금 확인했다"며 "4년 연속 외화채권을 발행해 정규발행사(Regular Issuer)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을 필두로 국내 증권사의 외화채 발행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해외법인에 대규모 출자를 하며 해외 투자에 대한 의지를 보였던 NH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등에서도 외화채 발행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일반적으로 채권 발행은 자금 조달의 수단으로 사용된다. 그중에서도 외화채권을 발행하면 스왑, 환헷징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해외 투자를 공격적으로 진행하는 증권사에서는 부담이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해외 투자 확대 등으로 달러화 자금의 필요성이 높아진 가운데 외화채권 발행을 통해 새로운 자금조달 창구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이 국내 증권사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고 있다"며 "다만 금리 인상 가능성은 달러채 조달 여건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