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7월27일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우리측 연락대표가 북측 연락대표와 통화하고 있다. /사진제공=통일부 |
통일부는 "오전 9시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개시통화가 이뤄지면서 남북통신연락선이 복원됐다"고 4일 밝혔다. 남북 간 군 통신선도 같은 시각 정상통화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및 군 통신선을 통해 남측의 통화 시도에 응답한 건 55일 만이다. 지난 8월10일 한미연합훈련 사전연습 격인 위기관리 참모훈련(CMST) 이후 불통 상태였다.
이번 통신연락선 복원은 지난달 22일(현지시간) 유연 총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종전선언을 공개 제안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29일 시정연설을 통해 남북통신연락선 복원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북한 조선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남조선(한국) 당국은 통신선 재가동 의미를 깊게 새기고 앞으로의 밝은 전도를 열어나가는 데서 선결돼야 할 중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통일부는 "정부는 남북통신연락선이 연결됨으로써 한반도 정세 안정과 남북관계 복원을 위한 토대가 마련됐다고 평가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통신연락선의 안정적 운영을 통해 조속히 대화를 재개해 남북합의 이행 등 남북관계 회복 문제와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실질적 논의를 시작하고 이를 진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