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초 수주 릴레이에 성공한 조선업계가 인력난을 겪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사진=이미지투데이 |
12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들어 LNG운반선 6척, 컨테이너선 26척, 석유화학제품운반선(PC선) 2척, 전기추진 여객선(RO-PAX)선 2척 등 36척을 41억6000만달러(약 4조9899억원)에 수주했다. 연간 수주 목표인 174억4000만달러(약 20조9193억원)의 24%다.
대우조선해양은 현재까지 LNG운반선 5척, 컨테이너선 6척, 해양플랜트 1기 등 총 12척을 수주했다. 수주 금액은 27억2000만달러(약 3조2700억원)다. 지난해 1월부터 5월까지의 수주액을 약 한달 만에 채웠다.
조선업의 추후 전망도 밝다. 국내 조선업계가 강점을 갖는 LNG선 발주가 늘어날 전망이기 때문이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친환경 기조가 강화에 따라 다음해부터 이미 운항 중인 선박에 온실가스 배출규제를 적용할 계획이다. 노후화된 선박의 교체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보여 LNG선 추가 수주 기대감이 크다.
조선업황이 살아나고 있으나 조선사들은 인력난을 겪고 있다. 4~5년 전 조선업 불황 당시 숙련공들이 이탈한 후 신규 인력 충원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2015년 20만2689명에 달했던 인력은 구조조정 이후 다른 업종으로 이직하면서 지난해 11월 기준 9만2809명으로 반토막났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8일 발표한 ‘조선업 생산 직접직 인력 대비 향후 필요 인력’에 따르면 조선업 밀집 지역(부산·울산·경남·전남)을 중심으로 올해 생산 분야에서 최대 8000여명의 인력이 부족할 전망이다. 인력은 올해 1분기 3649명, 2분기 5828명, 3분기 8280명, 4분기 7513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지자체 및 일부 기업과 일자리 상생협약을 체결했으나 정부의 노력이 큰 효과를 보지 못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조선업 불황 당시 조선업을 떠난 숙련공들이 구조조정 트라우마를 갖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업계 호황이 지나면 다시 일자리를 잃을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에 조선업으로 이직할 생각을 하지 않는다는 시각이다. 건설현장 등 타 업종에서 더 많은 임금을 받는 경우도 있어 조선업으로 다시 돌아올 메리트가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 정책이 일자리 향상에 큰 도움을 줄 것 같지는 않다”고 밝혔다. 다만 “지원책이 아예 없는 것보다는 낫다”며 “조금이라도 지원해서 단 한 명의 인력이라도 구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