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당선인이 18일 최종 집무실 이전 후보지를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와 용산 국방부 청사로 압축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종로구 통의동 당선인 집무실에서 면담하는 윤 당선인. /사진=뉴스1 |
1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 차장이 위원장을 맡은 '대통령실 이전 준비 치안대책위원회'는 새 대통령 집무실 부지 후보 지역에 대한 경호·보안·의전 등 실무 검토 작업을 진행 중이다. 당선인의 출퇴근 동선 등 교통 관리와 경호, 집회·시위 등 경비 업무가 장소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는 만큼 경찰은 대응 방안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 집무실 이전 후보 지역으로 압축된 광화문과 용산 두 곳에 대해 경호·경비 등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며 "광화문은 기존에도 집회·시위가 잦아 대응이 익숙한 곳이고 용산에 위치한 국방부 역시 청사 외곽을 경찰이 경비해왔던 곳"이라고 설명했다.
인수위원들은 이날 오후 현장 답사를 통해 후보군인 광화문과 용산의 장단점을 분석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집무실 이전은) 윤 당선인의 가장 중요한 공약이었기 때문에 그만큼 컨센서스(합의)가 필요하다"며 "오늘 답사해보고 여러 의견을 모아 토론하고 논의하는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이전 부지로 광화문 외교부 청사가 유력하게 검토됐으나 경호·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이에 용산 국방부 청사가 유력 후보지로 부상했다.
광화문 청사의 경우 민간 고층 건물로 둘러싸여 있고 인도에 바로 붙어있지만 용산 국방부 부지는 합동참모본부 등 군 관련 건물이 밀집해 있고 빈터도 있어 경호와 보안에 더 유리하다는 평가다.
시민들의 교통 불편 우려 문제는 어느 지역이 선정되더라도 해결 과제다. 광화문과 용산 두 곳 모두 도심 지역이라 상습정체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 대통령의 외부일정은 물론 관저에서 집무실까지 출퇴근할 때도 경호 인력이 붙고 교통 통제도 이뤄지기 때문이다.
집무실, 관저 이전 부지에 따라 경찰의 대응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청와대는 집무실과 관저가 같은 공간에 있지만 용산 국방부 청사에 집무실, 한남동 공관촌에 관저가 마련될 경우 약 3.2㎞ 구간 이동 동선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대규모 집회·시위에 대한 대응도 필요하다. 현재 집회·시위 금지 구역은 대통령 관저, 국회의장 공관, 대법원장 공관, 헌법재판소장 공관 등의 경계 지점으로부터 100m 이내로 규정돼있다. 집무실과 관저가 분리되면 '대통령 집무실'을 따로 명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인수위에서 이전 부지를 최종 결정하면 세부적인 대응 방안 마련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