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세 도입에 대비해 정부가 철강업계의 탄소중립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12일 정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철강업계의 탄소중립을 위해 전기로 효율향상, 수소환원제철 기초 설계 등 2097억원 규모의 기술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탄소배출량 검·인증기관 확대, 국제표준 개발, 대응 가이드북 배포, 실무자 교육 지원 등을 통해 국내 탄소배출량의 측정·보고·검인증 체계(MRV) 시장의 조기 정착 등도 지원한다.
철강업계는 탄소 규제가 우리 수출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과 직결되는 만큼 탄소 배출 검·인증, 설비 투자와 기술 개발 등 정책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최근 '철강산업 탄소규제 국내대응 작업반'을 출범하고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에 나섰다. 작업반에는 산업부, 철강협회, 무역협회, 포스코, 현대제철 등 업계와 산업연구원 등 연구기관 및 학계가 참여한다.
이들은 EU CBAM, 미국-EU간 GSSA 등 철강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탄소규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다각도에서 논의한다. 논의결과는 산업역량 제고와 수출입 전략에 활용할 예정이다.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철강업계의 탄소 중립을 위해 전기로 효율 향상과 수소환원 제철 기초설계 등 2097억원 규모의 기술개발을 지원할 것"이라며 "탄소 배출량 검·인증기관을 확대하고 국제표준 개발과 대응 가이드북 배포, 실무자 교육 지원 등 우리 기업의 탄소규제 대응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