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이태원 참사 관련 서울광장에 마련된 추모 공간에 대한 행정대집행을 오는 15일 오후 1시로 연기했다. 사진은 지난 6일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공간에서 추모하는 시민. /사진=뉴시스
서울시가 이태원 참사 관련 서울광장에 마련된 추모 공간에 대한 행정대집행을 오는 15일 오후 1시로 연기했다. 사진은 지난 6일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희생자 추모 공간에서 추모하는 시민. /사진=뉴시스

서울시가 이태원 핼러윈 참사 유가족과 시민단체 측이 서울광장에 설치한 추모 공간에 대한 행정 집행을 일주일 동안 미룰 방침이다. 아울러 시는 유가족이 생각하는 대안을 오는 12일 오후 1시까지 제안해달라고 요청했다.

오신환 정무부시장은 7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브리핑을 통해 "일주일 동안 행정대집행을 미룰 것"이라며 "서울시는 유가족의 비통한 심정을 이해해 서울시가 기존에 제안했던 녹사평역 추모 공간에 대한 수용 여부와 불수용 시 유가족 측이 생각하는 추모 공간 대안을 이번 주말인 오는 12일까지 제안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오 부시장은 "유가족분들은 사고 현장 인근 공공건물, 특히 용산구청과 녹사평역 내부에 추모 공간 마련을 요구했다"며 "용산구청엔 적절한 장소가 없어 시설이 잘돼있는 녹사평역 내부를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에 대해 유가족 측도 이의가 없이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유가족 협의회는 참사 100일 추모제 직전 갑자기 광화문광장과 세종로공원에 시민분향소 설치를 요청했고 서울시는 지난달 31일 규정상 불가함을 통보했다"며 "이후 소통 없이 유가족 측이 지난 4일 서울광장에 추모 공간을 기습·무단·불법으로 설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지난 6일 유가족이 설치한 추모 분향소 철거를 위해 유가족 측에 오는 8일 오후 1시까지 분향소 자진 철거 요구에 응하지 않으면 행정대집행을 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2차 계고장을 전달했다. 이에 유가족 측은 계고서를 찢으며 자진 철거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강하게 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