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행복주택지구 후보지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필요에 따라 정부에 제안한 곳을 중심으로 결정된다. 1차 행복주택 후보지 발표 이후 줄곧 이어지고 있는 해당 지역의 거센 반대에 따른 대안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는 행복주택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후보지를 정부가 일방적으로 지정하지 않고 지자체가 요청한 곳을 우선 지정하는 ‘제안형 방식’으로 전환할 방침이라고 1일 밝혔다.

지금까지 신도시·보금자리주택지구 등 공공택지 개발은 정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개발주체가 직접 후보지를 결정하고 추후 지자체의 동의를 얻는 방법으로 추진됐다.

국토부는 오는 10월께 발표할 2차 후보지 지정부터 지자체 제안 방식을 도입하기로 하고 조만간 지자체를 대상으로 설명회도 가질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자체의 제안을 받으면 행복주택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대가 줄어들고 사업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자체 제안만으로는 5년간 20만가구의 행복주택을 건설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부 주도의 후보지 지정 방식도 병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