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승환 국토교통부 장관은 29일 "파업이 장기화 되면 기존 인력을 대체해 충원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 장관은 이날 코레일 구로 차량기지를 찾아 "660명 규모의 대체인력 채용이 진행 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추가 채용 규모와 시기에 대해 "파업 지속 기간 등을 살펴서 세부적 내용은 코레일 경영진이 판단할 걸로 생각한다"고 짧게 답했다.

코레일은 정원을 엄격하게 통제받고 있다. 대체인력 660명은 내년 말 퇴직 인원만큼을 미리 뽑는 것이지만, 파업이 장기화하면 해직자가 다수 나올 것을 감안해 정원 내에서 대체인력을 채용한다는 것이다.

국토부는 전날 철도 같은 필수공익사업장에서는 앞으로 장기간 파업이 일어나면 주동자뿐만 아니라 단순 참가자까지 직권면직할 수 있도록 입법하는 방안도 검토한다고 엄포를 놓은 바 있다.

2009년 철도 파업 당시 코레일이 196명을 파면 또는 해임했으나 소송 등을 거쳐 실제로는 42명만 파면·해임됐기 때문에 법을 바꿔 징계의 실효성을 높인다는 것이다.

서승환 장관은 이에 대해 "여러 법리상 문제가 없는지 신중히 검토하려 한다"고 말했다.

국토부가 수서발 KTX 법인 면허 발급을 서둘렀다는 지적에 대해 그는 "발급 검토는 다섯 달 이상 충분히 했고 법원 등기 나오는 대로 발급하겠다고 여러 기회에 누차 말했다"면서 "법원 등기에 따라 정상적으로 발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그는 노조 지도부를 만날 의사는 없는지 묻자 "불법파업 중에 노조를 직접 만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노사가 만나서 해결하는 것이 적절하다"며 거부 의사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