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몽주 편지' |
'정몽주 편지 발견'
정몽주가 1385년 지인에게 쓴 것으로 보이는 편지가 발견됐다.
정몽주 편지는 일제강점기 아사미 린타로에 의해 반출됐다가 국내 한 고미술 관계자가 이를 입수하면서 국내에 들어오게 됐다.
이 편지는 일제강점기 서울에서 판사로 일한 아사미 린타로(1869~1943)에 의해 반출됐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몽주 편지에 대해 전문가들은 "저명한 고문서 수집가였던 아사미 린타로의 소장품이라는 게 역설적으로 이 유물의 가치를 말해준다"면서도 "정몽주 친필 실물이 워낙 희귀해 글씨만으로 진위 여부를 결론 내기는 어렵다"며 신중론을 폈다.
그러나 종이 재질을 분석한 결과도 서지 보존처리 전문가는 "종이를 빛에 투과해보니 발의 간격이 조선시대 이후의 종이보다 넓고 섬유질이 고르지 않게 뭉쳐 있는 등 14~15세기 종이의 특징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동국 예술의전당 서예부장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추사 진품을 가짜라고 하는 일이 흔했다. 추사체가 워낙 다양해 말년의 글씨만 추사체로 보고 20~30대 글씨는 가짜라고 보는 일이 많았다"며 "정몽주 친필 자료는 목판으로 새긴 것까지 포함해 4~5점뿐이라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 편지는 9행 127자. 나라가 망해가도 손쓸 수 없는 충신의 절절한 마음을 종이에 행초서로 쓰여있다. 수신자는 확인이 불가능하지만, '족하(足下)'라는 경칭으로 볼 때 지인에게 보낸 서신으로 추정되고 있다.
편지에는 "울타리 아래는 꽃이 피고 술독에 술이 익어가니 당신은 흥취가 적지 않으시리라 생각합니다. 이 늙은이는 나랏일에 매여 있어 당신과 더불어 이 즐거움을 함께할 수 없으니 하늘은 무슨 뜻인지, 멀리서 바라보며 부러워할 뿐입니다"라고 쓰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