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우울증 뇌혈관'

노인성 우울증은 고령일수록 심리적 요인보다 뇌혈류 장애로 인한 혈관성 우울증이 많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난 11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와 제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준혁 교수 연구팀이 반드시 치료를 요하는 노년기 주요 우울장애 환자의 대부분이 뇌혈류 순환 장애로 인한 혈관성 우울증이라고 보고했다.

연구팀은 경기도 용인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060명을 대상으로 우울증 유병률을 조사했다.

그 결과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뇌혈관 문제를 동반한 혈관성 우울증 환자의 비중이 높아졌음을 확인했다.


혈관성 우울증은 MRI로 뇌를 촬영했을 때 백질병변을 보이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모세혈관이 막히면서 발생한다.

연구팀은 주요 우울장애 환자에서 혈관성 우울증이 차지하는 비중이 70대 초반일 경우 75%, 75세 이상에는 100%에 이른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또 3년 후 추적 조사에서 여전히 주요 우울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의 비율이 비혈관성 우울증 환자(10명 중 1명)에 비해 혈관성 우울증 환자(4명 중 1명)가 월등히 높다는 점도 확인했다.

정상 노인 중에서도 대뇌 허혈성 병변이 있었던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3년 뒤 우울증을 앓게 될 위험이 8배나 높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교수는 "노인의 우울증은 초기에 반드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부끄러워하거나 숨기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기분장애학회(IISAD) 공식 학회지 '정동장애학술지(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최신호에 발표됐다.

노인우울증 뇌혈관. /자료=뉴스1(분당서울대병원 제공)
노인우울증 뇌혈관. /자료=뉴스1(분당서울대병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