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정몽구 회장이 러시아 공장을 방문해 시찰하는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 정몽구 회장이 러시아 공장을 방문해 시찰하는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러시아시장에 기회는 다시 올 것이다. 어려움이 있더라도 러시아 시장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이 3일(현지시간) 현대차 러시아공장을 방문해 이같이 주문했다. 정 회장의 이번 방문은 러시아 시장이 오랜 경기침체 영향으로 산업수요가 줄어들고 있어서다. 이에 그는 시장이 회복됐을 때를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시장에서 최고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상품, 마케팅 전략을 철저히 준비하라”고 말했다.
러시아 자동차시장은 2012년 294만대에 달했지만 올해는 140만대로 반토막 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미 일부 글로벌 제조사들은 판매량이 급감하자 공장을 폐쇄하거나 조업중단, 감원 등 러시아를 떠나고 있지만 현대·기아차는 생산차종을 추가하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런 노력 덕분에 현대·기아차는 러시아시장에서 점유율을 꾸준히 늘리는 중이다.


2015년엔 전년대비 13.5% 감소한 32만4701대를 팔았다. 하지만 러시아 전체 시장이 35.7% 감소하면서 오히려 시장점유율은 15.1%에서 20.3%로 높아졌다. 올해 6월까지도 전체시장이 14.1% 줄어들었지만 현대·기아차는 전년 대비 13.9% 감소한 13만4100대를 팔았다.

현대차그룹 정몽구 회장이 러시아 공장 크레타 생산라인을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 정몽구 회장이 러시아 공장 크레타 생산라인을 점검하고 있는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이런 이유로 정몽구 회장은 이달 초부터 생산에 들어간 소형 SUV ‘크레타’ 생산라인을 점검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지난해 인도시장에 출시된 크레타는 최근 러시아시장에 부는 SUV 열풍에 대응하기 위해 이달부터 러시아공장에서 만들고 있다.
현대·기아차 대표 러시아 전략 차종인 쏠라리스와 리오는 올해 4만5930대, 3만9454대 판매로 러시아 자동차시장 베스트셀링 1위와 3위를 달리고 있다.

한편, 러시아공장 점검을 마친 정몽구 회장은 슬로바키아와 체코로 이동해 현지 공장에서 생산된 자동차의 품질을 점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