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K텔레콤이 사이버 침해사고와 관련해 번호이동 위약금 면제를 발표하자, 통신사 간 번호이동 유치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KT와 LG유플러스는 마케팅 공세에 나섰고, 일부 유통 채널에서는 불법 보조금 조짐까지 감지된다.
지난 4일 SK텔레콤은 약정 기간 내 해지한 고객에게 위약금을 전액 면제하겠다고 발표했다. 대상은 4월19일 이후 해지했거나, 이달 14일까지 해지하려는 이용자다. 공시지원금이나 선택약정 할인 반환금 모두 포함된다. SK텔레콤은 이미 위약금을 납부한 고객에게는 환급 절차를 시작했다.
SK텔레콤의 위약금 면제 조처가 전격 시행된 가운데 KT와 LG유플러스는 이를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일부 통신사 대리점에서는 'SK텔레콤 위약금 면제 확정! 쓰던 폰 그대로 오세요' 문구를 내걸면서 이번 사태를 마케팅 기회로 삼고 있다.
본지가 입수한 한 통신사의 SK텔레콤 위약금 면제 조치와 관련한 유통망 고객 대응 시나리오에는 "SKT가 위약금 없이 보내주는 이유는 '우린 막을 수 없다'는 조용한 구조 신호"라고 적혀 있다. 또 "해킹은 내 정보를 털기 시작해서 나중엔 내 인생이 털리는 것" "가만히 있는 게 가장 위험한 선택" 등의 자극적인 대응 멘트도 담겼다.
보조금 경쟁 조짐도 보인다. 지난 주말 강변 테크노마트에서는 갤럭시S25(256GB)가 통신 3사 모두 번호이동 조건으로 5만~15만원대에 판매됐다. 출고가 135만3000원에서 공시지원금 50만원(10만9000원 요금제 기준)을 제외하면 80만원 안팎의 불법 보조금이 붙은 셈이다.
일각에서는 유심 해킹 피해로 다수의 이용자가 불편을 겪은 상황에서 이를 마케팅 기회로 보는 건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 위약금 면제 조치가 경쟁사 입장에서 매력적인 마케팅 기회일 순 있겠지만, 고객 상대로 과도한 공포를 조장하는 건 적절치 않아 보인다"며 "이미 해킹 사고를 겪었던 기업들이기에 더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