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임한별 기자 |
직장인 10명 중 7명은 '퇴근 후 아무것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녹초가 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특히 직장인 여성은 일로 인한 체력 소진이 남성보다 높고 '집에서도 쉴 틈이 없다'며 피로를 토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5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20∼40대 직장인 2000명을 상대로 설문한 ‘2040세대 취업남녀의 시간사용과 일·생활에 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67.8%가 ‘일을 하고 나면 지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답했다.
일로 인한 소진감은 여성(71.4%)이 남성(65.1%)보다 더 컸다. 월수입 200만원 미만인 직장인 중 70.3%, 500만원 이상 고소득 직장인 중 60.9%는 퇴근 이후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데 동의해 소득이 낮을수록 피곤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에서도 쉴 틈이 없다’는 응답은 52.4%로 나왔다. 여성(55.5%), 30대(57.8%), 맞벌이(66.2%) 직장인은 퇴근 이후에도 쉴 틈 없이 바쁘다고 대답했다. 영유아 자녀가 있는 직장인 중 68.6%는 귀가 이후에도 분주하다고 답해 육아 부담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일·가족·개인 생활의 이상적 시간배분 역시 현실과 괴리가 컸다. 답변을 평균해보면 직장인들은 수면과 휴식·여가를 포함한 개인생활에 47.1%, 근로시간에 29.6%, 가족생활시간에 23.2%를 각각 사용하길 원했다.
그러나 직장인은 주어진 시간의 42.6%는 일하는 데 썼다. 개인생활에는 41.4%, 가족생활시간에는 16.0%를 사용했다.직장인 중 66%는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줄이고 희망에 가깝게 시간을 나눠쓰려면 가장 먼저 정시퇴근 보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유급휴일·연차 사용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은 53.9%로 집계됐다.
업무량 감축을 동반한 근로시간 단축(42.0%)이나 근로 시간·장소의 유연한 조정(40.7%)은 정시 퇴근 요구에 미치지 못했다.
정시퇴근 요일을 지정한 ‘가족사랑의 날’ 등 프로그램을 확대·강화해야 한다는 응답(22.1%)은 업무 시간 이후 문자·연락·지시를 금지해야 한다(38.0%)는 의견보다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