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재철. 김재철 전 MBC 사장이 30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이명박정부 시절 국가정보원과 결탁해 MBC 방송 제작에 불법으로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는 김재철 전 MBC 사장이 30일 검찰에 출석했다.
김 전 사장은 이날 오후 3시52분쯤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해 '국정원 직원이나 담당관을 만난 적 있는가' '국정원 문건을 보고 부당 인사 등을 실행한 것 아닌가'라는 취재진 질문에 "국정원 관계자를 만난 적도 없다. 국정원 담당관도 만난 적이 전혀 없고, 서류(문건)를 본적도 들은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MBC에서 수많은 기자와 PD들이 공정 방송을 하다 부당한 인사를 당했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는 "3년1개월간 사장으로 재직했는데 부당 인사를 한 적 없다", '왜 국정원 문건 이후에 여러 일들이 일어났는가'라는 질문에는 "문건을 본 적도 들은 적도 받은 적도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 전 사장은 이날 압수수색 대상이된 자신의 휴대전화 복원 작업에 참여하기 위해 검찰에 출석했다. 정식 조사는 추후 일정을 정해 진행될 예정이다.
검찰은 이날 김 전 사장 등 MBC 전·현직 보도국 임원진 3명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당시 MBC 전담 국정원 직원에 대해서도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검찰에 따르면 김 전 사장 등은 MBC 시사 프로그램 'PD수첩' 등 정부 여당에 비판적인 MBC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제작진 및 진행자 교체, 방영 보류 및 제작 중단 등 불법 행위를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MBC 경영진 교체 경위 등을 확인하기 위해 방송문화진흥회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했다.
앞서 국정원 적폐청산 TF(태스크포스)에 따르면 이명박정부 시절 국정원은 2010년 3월 원세훈 전 국정원장 지시로 'MBC 정상화 전략 및 추진방안' 문건을 작성했다.
이 문건에는 김 전 사장의 취임을 앞두고 공영방송 잔재 청산, 고강도 인적 쇄신, 편파 프로그램 퇴출에 초점을 맞춰 근본적 체질 개선을 추진하라는 내용이 들어있다. 국정원은 2011년 4월 원 전 원장의 지시로 MBC 특정 라디오 진행자 퇴출을 유도했으며 8월에는 MBC 특정 문화·연예계 출연 인물 퇴출을 유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