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윤석열 검찰총장. /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 윤석열 검찰총장. /사진=뉴시스

청와대와 검찰이 정면충돌하는 양상이다.
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지난 5일 일부 언론과 인터뷰에서 “그 당시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딸에게) 표창장을 주라고 추천한 교수를 찾은 것으로 파악했다. 6일 청문회에서 그것에 대해 해명할 수 있을 것”이라며 “표창장을 준 기록이 왜 없는지를 확인했는데, (동양대) 영어영재교육센터 직원이 대학 본부에 가서 표창장을 받아왔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그 당시 총장 명의로 표창장 발급이 많이 돼 대학 본부에서 표창장을 줄 때 소소한 것들은 대장에 기록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고 언급했다.

이같은 청와대 관계자의 발언이 보도되자 검찰은 강하게 비난했다.


대검찰청 관계자는 이날 오후 취재진들에게 공식입장을 내고 “금일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장관 후보자 부인의 표창장 위조 의혹 사건과 관련해 위조가 아니라는 취지의 언론 인터뷰를 한 바 있는데, 청와대의 수사 개입으로 비칠 우려가 있는 매우 부적절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검찰이 청와대 관계자의 발언에 대해 입장을 낸 것은 매우 이례적인 상황.

앞서 청와대는 검찰이 지난달 27일 법무부와 청와대 등에 제대로 된 사전보고 없이 조 후보자와 관련한 대대적인 압수수색에 들어가자 불쾌한 기류를 내비친 바 있다.


검찰의 압수수색 이후 일부 언론에서 조 후보자 딸에게 장학금을 줬던 노환중 부산의료원장이 현 대통령주치의(강대환 양산부산대병원 교수) 발탁에 관여했다는 내용이 담긴 문건을 검찰이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했다고 전했다. 이에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은 당시 "수사과정에서 피의사실을 흘리거나 흘린 경우는 범죄"라며 "윤석열 검찰총장이 이 사실을 반드시 수사해야 한다"고 검찰을 향한 직접적인 반감을 드러냈다.

이를 전후해 더불어민주당 등 여권은 “가장 나쁜 검찰 적폐가 다시 나타났다”(이해찬 민주당 대표)고 비판하는 등 연일 검찰을 몰아세웠다. 검찰의 반발에 청와대는 "지금까지 수사에 개입한 적도 없고 검찰 수사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았다"고 재반박했지만 당분간 양측의 긴장 관계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다수의 관계자를 소환 조사하는 등 수사에 탄력을 받은 검찰은 조 후보자 임명 여부와 무관하게 가족을 둘러싼 의혹에 대한 고강도 수사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