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지털교도소 © 뉴스1 |
(서울=뉴스1) 이상학 기자 = 성범죄자로 추정되는 이들의 신상정보를 공개하는 사이트인 '디지털교도소'의 피해 사례가 등장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최근 디지털교도소에 신상정보가 올라간 고려대학교 재학생이 극단적인 선택을 한 데 이어 신상정보가 공개된 한 교수는 경찰 조사를 통해 혐의를 벗은 것으로 확인되면서다.
8일 오후 현재 디지털교도소 사이트는 접속 불가 상태로 운영자가 경찰의 수사망을 피하기 위해서인 건 아닌지 의심도 제기된다.
지난 6월 디지털교도소 사이트에는 채정호 가톨릭의대 교수(59)가 성착취물 동영상 구매를 시도했다며 그의 휴대전화 번호 등 개인정보가 공개됐다.
이에 채 교수는 하루에 수백통의 비방 문자를 받는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고 한다.
채 교수는 이들을 명예훼손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고, 경찰이 채 교수의 휴대전화를 포렌식한 결과 채 교수의 결백이 밝혀졌다.
![]() |
대구지방경찰청이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윤리위원장에게 보낸 공문의 한 부분(채정호 교수 SNS 갈무리) © 뉴스1 |
채 교수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제가 아무리 아니라고 해봐야 의미 없는 외침일 것 같아 고소를 진행했다"며 "디지털 포렌식 등 수사 결과 제가 그런 채팅을 한 적이 없고, 조작이라는 것이 공식으로 규명됐다"고 말했다.
이어 "범인을 잡을 때까지 수사는 지속될 것이지만 허위사실임이 규명됐으니 그것을 전파하는 행위도 불법 행위임을 분명하게 말씀드린다"고 덧붙였다.
그는 대구지방경찰청이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윤리위원장에 보낸 공문도 공개했다.
해당 공문에는 "고소인의 휴대전화에는 디지털교도소에 게재된 것과 같은 내용의 대화내용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쓰여있다.
또 경찰은 공문에서 "삭제 데이터 복원 후 검색 결과 고소인이 고의로 삭제한 것으로 보이는 메신저 대화내용 및 사진, 영상 등이 발견되지 않았다"며 "고소인이 성착취물을 구매하려는 것으로 의심할 만한 대화, 사진, 영상 등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아울러 "디지털교도소에 게재된 채 교수 작성 글에서 발견한 특정 단어의 맞춤법이나 말줄임 등 문자 작성 습관과 휴대전화에서 추출한 메시지 9만9962건 중 채 교수가 발송한 내용을 비교한 결과 서로 일관되게 달라 디지털교도소의 텔레그램 채팅을 한 자는 채 교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디지털교도소는 현재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