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사진=장동규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사진=장동규 기자
정부가 2025년까지 국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술수준을 선진국 대비 85%까지 끌어올린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위원회’를 열고 “지난 4월1일 시행된 소부장특별법에 따라 5년 단위 기본계획을 확정하려 한다”며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홍 부총리는 “소부장 강국 도약이라는 비전 아래 첨단 소부장 육성을 위한 생산역량 및 공급망을 강화할 것”이라며 “첨단기업 집적화를 통한 첨단산업 글로벌 허브 구축과 범부처·민관의 긴밀한 공조체계 가동이라는 중점 전략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본계획이 착실히 이행되면 2025년까지 ’포브스 2000(미국 포브스지가 발표하는 글로벌 2000대 기업)’ 내 한국 소부장 기업 수는 11개에서 20개로 늘고 선진국 대비 소부장 기술 수준은 80% 초반에서 85%로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정부는 기계분야 핵심모듈, 고부가 광학 및 점·접착용 신소재, 반도체 검사장비용 부품·소재 등 5개 핵심 소부장 개발을 위해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사업도 승인했다.

승인사업에는 협동연구와 개발·구매 연계 뿐 아니라 수요기업과공급기업이 공동 투자해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사례도 포함됐다.


홍 부총리는 “이번 협력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2025년까지 약 1300억원 규모의 민간투자와 약 1000명 규모 신규고용이 창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외에 정부는 연구용 특수 장비에 대해 신속 구매절차를 도입해 구매 소요기간을 대폭 단축한다. 또한 코로나19로 위축된 기업의 R&D 투자 여력 보완을 위해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해 신소재 개발 기간을 최대 50%까지 단축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