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각국이 코로나19 재확산을 막기 위해 재봉쇄에 나섰다./사진=로이터
유럽 각국이 코로나19 재확산을 막기 위해 재봉쇄에 나섰다./사진=로이터
인구 4억6000만명의 유럽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여파로 멈춰서고 있다. 코로나19 2차 유행을 막기 위해 프랑스, 독일은 공식 통행 금지령을 내렸고 스페인, 이탈리아는 지역 봉쇄와 통행 제한에 나섰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대국민담화를 통해 이달 30일(현지시간)부터 최소 12월1일까지 프랑스 전역을 봉쇄하겠다고 밝혔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대국민담화에서 "코로나19의 두 번째 확산은 첫 번째 확산보다 더 치명적일 것으로 예측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코로나19의 급속한 확산에 프랑스는 압도당했다"며 "현재 프랑스 전역은 비상경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현재 코로나19의 확산 속도는 가장 비관적이었던 전망을 넘어선 정도"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또 프랑스는 어떤 경우에도 집단면역을 선택하진 않겠다"며 "이 경우 프랑스에서 약 40만명이 목숨을 잃게 된다"고 부연했다. 

독일 연방 정부와 주정부도 같은 날(28일)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11월2일부터 4주간 식당과 술집, 영화관 등 여가 시설의 문을 닫는 '부분 봉쇄 도입'에 합의했다.  


이날(28일) 로이터, AP 통신에 따르면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이날 주지사들과 화상 회의 뒤 취재진에게 "국가적 보건 비상사태를 피하기 위해 우리는 지금 행동해야 한다"고 전했다.  

스페인과 이탈리아도 빗장 걸다


앞서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25일 오전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오후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이동을 제한한 국가경계령을 의결했다. 

국가경계령에 따르면 지방정부는 자체적으로 통행 금지 시간을 1시간 앞당기거나 뒤로 미룰 수 있다. 지역 간 이동 금지 여부 역시 지방정부의 결정에 따른다. 

올 봄 발동한 국가경계령의 경우 2주마다 하원에서 연장 승인을 받도록 조처했지만 산체스 총리는 이날(25일) 의결한 국가경계령의 경우 앞으로 6개월, 즉 내년 4월까지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탈리아에서는 식당·술집 영업이 오후 6시까지로 제한됐다. 주세페 콘테 이탈리아 총리는 당시 기자회견에서 "새로운 코로나19 방역 행정명령에 서명했다"며 "다소 고통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이를 악물고 이같은 제재를 이행한다면 우리는 12월쯤 다시 숨을 쉴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현재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하다며 대응을 강화하고 회원국 간 조율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미 유럽의 바이러스 통제는 한계에 임박했단 비판이 나오고 있다. 28일 기준 유럽 내 코로나19 확진자는 912만7677명으로 하루 동안 2만2440명 증가했다.